 |
 |
 |
|
 |
|
 |
|
 |
|
 |
|
 |
|
|
 |
 |
 |
 |
 |
 |
 |
|
 |
|
들른 이 181497589 명
깁고 더함 2007/12/28
|
|
 |
|
|
|
 |
|
우리말
사전 | 어문 규정 | 어휘 | 글쓰기
| 우리말 글살이 |
|
|
|
|
 |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박숙희
서운관, 1995
잊혀져 가는 고유어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나, 셀 수 없이 쏟아져 나오는 신조어나 시사용어에 대한 앎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앞서야 하는 것이 바로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쓰고 있는 우리말에 대한 올바른 이해일 것이다. 이 책은 우리말 속뜻 사전으로 본뜻과 현재 쓰이고 있는 달라진 뜻을 함께 들고 있어서 우리말 속뜻의 변화를 읽을 수 있... [자세히]
|
|
|
 |
우리 시대의 언어게임, 고길섶
토담, 1995
이 책은 흥미위주로 과거사를 회상해보자는 태오를 넘어 오늘을 실천하는 언어게임에 적극 개입해보자는 시도가 깃들어 있다. 이 책을 통해서 독자는 현대사의 언어게임들을 단순히 역사적으로 들춰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언적 실천 속에서 독자가 경험하고 있는 언어게임과 함께 그 재미를 엿볼 수 있으리라고 본다. 이책은 1945년부터 1970년대까... [자세히]
|
|
|
 |
우리말의 나이를..., 박숙희 유동숙
서운관, 1995
말에도 생명이 있어서 새로 태어나기도 하고 죽기도 한다. 그러다 보니 상고시대부터 써온 말이 있고, 삼국시대에 생긴 말이 있었다. 고려, 조선, 개화기, 일제강점기, 광복 이후로 나누어 조사하다 보니 우리말로 태어나는 말도 많았지만 없어진 말도 많았다. 한문과 함께 들어온 중국어, 징기스칸의 가마부대와 함께 들어온 몽골어, 일제가 퍼뜨린... [자세히]
|
|
|
 |
가짜 영어 사전, 안정효
현암사, 2000
작가는 한국말도 제대로 할 줄 모르면서 이상한 영어를 만들어 쓰며 한껏 [외국어 실력]을 과시하는 현상을 심각하게 받아들여 이와 같은 책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 이 책은 신문이나 방송에서, 그리고 실생활에서 잘못 쓰이고 있는 외국어를 다루면서 이 말을 바르게 고쳐 정확한 외국어를 쓰도록 권하고 있다.
|
|
|
 |
국어 순화용어 자료집
문화체육부, 1997
정부가 1992년에 순화한 건설 용어, 미술 용어, 식생활 용어, 신문 제작 용어, 1993년에 순화한 선거 정치 용어, 전산기 용어, 생활 외래어, 1994년에 순화한 봉제 용어, 임업 용어(1차), 1995년에 순화한 일본어투 생활 용어(1차), 1996년에 순화한 임업 용어(2차), 1997년에 순화한 일본어투 생활 용어(2차)를... [자세히]
|
|
|
|
|
|
◀
1
2
3
4
5
6
7
8
9
▶
7/9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