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495624 명
  깁고 더함 2007/12/28
   
 
  우리말 사전 | 어문 규정 | 어휘 | 글쓰기 | 우리말 글살이
어휘
KBS 바르고 고운말, 김윤학
도서출판 박이정, 1996

우리 말글을 어떻게 바로잡을 것인가에 바탕을 두고 만든 이 책은, 우리가 흔히 쓰는 잘못된 말이나 발음, 맞춤법 등을 바로잡고 함부로 쓰는 외래어를 우리말로 순화시키기 위해 잘못된 쓰임과 그에 대한 해설을 하고, 바르게 사용한 예를 이야기로 풀어낸다.
KBS 한국어 바른말 고운말, KBS 아나운서실
대교출판, 1998

KBS [바른말 고운말]에 방송된 내용을 모아 묶은 이 책은 잘못된 발음, 뜻을 잘못 알고 쓰는 말, 잘못된 경어법, 잘못된 외래어 표현 등을 구어체에 맞게 바로잡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재미있는 어원 이야기, 박갑천
을유문화사, 1995

[어원수필]에 이어 그 보완판으로 나온 책이다. 말의 뿌리를 정확하게 알 수 없는 우리말의 어원을 모든 사람이 친근감 있게 읽을 수 있도록 재미있게 쓴 책이다.
우리말 속 일본말, 박숙희
한울림, 1996

저자의 말에 따르면 우리 국어 사전에는 한자어가 70%, 서양어가 6%, 일본어가 5%를 차지한다고 한다. 한자어 가운데서도 특히 일본식 한자어가 25%나 되므로 일본어까지 합치면 30%에 해당하는 일본어가 우리 국어사전을 점령하는 셈이 된다.
이 책에서는 우리말 속에 뿌리내려 좀처럼 뽑히지 않는 일본어를 찾아내고 그것을 알맞... [자세히]
우리말 고운말, 이인섭·심영자 공저
EBS 교육방송, 1992

이 책은 교육방송에서 방영된 [우리말 고운말]의 내용을 모아 엮은 것으로, 1988년에 고시한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에 관련된 화제(話題)를 일상적 언어 생활 속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 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1 2 3 4 5 6 7 8 9    8/9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