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632182 명
  깁고 더함 2007/12/28
   
 
   
  생각의 한 매듭인 문단이 모여서 단락을 이루고 단락이 모여서 하나의 글을 이루게 됩니다. 따라서, 글을 쓰는 과정은 생각의 첫 매듭인 문단을 하나씩 써 나가는 과정입니다. 여기서는 글의 처음과 끝 문장을 어떻게 써야 하는 지와 단락 쓰기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문장 쓰기
 
첫머리 쓰기
단락 쓰기
 
마무리 쓰기
 
 
  마무리 쓰기
 

1. 끝이 좋으면 전체가 산다.

첫머리보다 중요한 게 이 끝맺음이다. 독자들의 머리엔 이 마지막 것만이 남기 때문이다. 읽은 다음에 손해본 듯한 마무리는 필자도 독자도 바라지 않는다. "읽은 수고가 헛되지 않았구나"라는 이점을 안기는 결말이었으면 함이 최소의 소망이겠다.

2. 마무리 문장의 조건

(1) 짧아야 한다.

- 마무리 단락은 짧을수록 효과적이다. 일반적인 생활문에서 첫머리를 전체의 15%, 마무리를 10%로 잡으라고 함은 그 때문이다. 압축의 압축, 생략의 생략.

(2) 강해야 한다.

- 강한 표현이 되려면 문장을 입체화해야 한다. 입체는 평면의 반대다. 문제를 밖에서 바라보는 것(시점 변화), 딴 화제와 결부시키는 것(비교, 대조), 표현에 변화를 깃들이는 것(문 체의 변화, 리듬화) 따위도 입체화의 한 방법이다.

(3) 안정감 있어야 한다.

- 종결은 완결미, 완성미를 의미한다. 엉뚱한 화제로 돌리면서 끝맺는 것도 하나의 '여유'요, '새로움'이다. 딱딱한 내용을 앞에서 말했으면 그 뒤엔 반드시 풀어주어야 한다.


3. 마무리의 기법들

(1) 고조형

사건의 해결이나 화제의 종말을 평면적으로만 말하지 않고, 새로운 파란을 일으키거나 독자의 감흥을 더 추어올리려는 맺음이다.

보기>
보아 주는 이 없어도 좋다. 오직 나의 서식할 한 줌의 흙과 철 따라 내리는 우로 있으면, 태양의 따뜻한 온기와, 밤이면 만천 성좌의 서정과 더불어 성장하면 그뿐! 어느 때고 안으로 안으로 다스려 오던 내 정열이 마침내 견딜 수 없는 날, 노래처럼 나도 꽃 한 송이 진홍빛깔로 개화하였다가 낙화하면 그만인 것이다.

-이영도: <잡초처럼>-


(2) 완결형

안정감을 목표로 완전히 할말을 다 하는 마무리다. 논설문에서 많이 쓰인다.

보기>
그의 유서가 피로되었다. 그 유서에는, 4년 전에 XX도 XX고을에 살던, 그 때 열두살 났던 '영애'라는 처녀를 찾아서, 그 처녀가 그 때 어떤 과객이 준 수정으로 만든 비둘기를 가지고 있거든, 자기의 유산 전부를 주어서 비둘기를 사서, 자기와 같이 묻어 달란 말이 있었다. 그리고, 젊은이는 그 때의 그 소녀가 아직껏 그 비둘기를 가지고 있을 것을 의심치 않고 믿었던 것이었다. 이리하여, 그의 주검은 수정 비둘기와 함께 무덤으로 갔다.

-김동인: <수정 비둘기>-

(3) 여정형

이미 말한 내용에서 약간 벗어나거나, 주변적인 것에 초점을 돌려 효과를 봄.

보기>
시계가 여덟 시를 친 지 몇 분 뒤에, 무엇인지 깃대 위로 느릿느릿 기어오르는 것이 보이더니, 이윽고 산들바람결에 펄럭이고 있었다. 그것은 검정 깃발이었다. 드디어 '심판'은 끝났다. …(중략)… 말 없이 바라보고 있던 두 사람은, 마치 기도라도 올리는 양 땅 위에 쓰러져 한참 동안 꼼짝도 않고들 있었다. 검정 깃발은 말없이 바람 결에 나부끼고만 있었다. 이윽고 기운을 가다듬은 두 사람은리일어 서더니, 다시금 서로 손을 잡고 그 자리를 떠났다.

-<세계문학전집 테스>에서-

(4) 전환형

새로운 대상, 이질적인 내용의 제시로 여유와 참신을 노리는 마무리다.

보기>
나는 아직도 도스토옙스키의 산맥, 저 아랫자락에서 헤매고 있는 새끼 소설가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내 눈길은 구름에 가려 잘 보이지도 않는 그 산꼭대기를 향해, 약한 고개를 추켜들게 한다. 소설가를 꿈꾸는 그대들이여, 당신의 삶의 열정으로 인생의 광맥에 곡괭이를 찍어 보라! 그나마 삶을 사랑하지 않으면 그 행위도 짐짓 사기에 지나지 않을지니. -이경자: <이건옙결코 쉽지 않다>-

(5) 재강조형

'요약형'이고 '재서형'이다. "반복은 강조를 의미한다" 는 배경을 갖는다.

보기>
즉 그녀는 언어의 신을 잠 속이나 꿈속에서도 만나고자, 몽중 노력까지도 기울이는 것이니, 낮 동안의 처절한 각고는 또 어떻겠는가. 원고지 한 장을 쓰는 데 한 달도 걸리고 두 달도 걸리는 그 신성한 엄숙주의, 목숨을 건 혼신의 노력이 없이는 '신기'에 도달할 수도, 한 줄의 좋은 문장을 얻을 수도 없다는 지극한 겸허함이 그녀의 놀라운 문체를 만든 것이라는 것을 느꼈다.

-김승희: <문장 수업>-

(6) 인용형

유명 인사의 이야기, 명작의 시가, 자기의 시 따위를 인용하면서 마무리하는 기법. 인용하는 작품의 암시성이나, 격언, 속담 등의 풍유가 넌지시 에둘러 정곡을 찌를 때는 더없는 효과를 발휘한다.

보기>
"늙는다는 것은 나이를 먹는 것이 아니라 야망을 잃는 것이다." 피카소의 일생을 다룬 영화 <황소와 비둘기>의 주연을 맡았던 영화 배우 앤터니 퀸이 남긴 말이다.

-이광훈 칼럼: <50대, 그 쓸쓸한 그림자>-

-문장표현사전, 장재성-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