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로 수능을 뒤집자.” “우린 할 수 있다.”
연단에 선 강사가 이렇게 선창하자 강당을 가득 메운 1200여명의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결연한 표정으로 한껏 목소리를 높여 따라 외쳤다. 올 대학 입시에서 ‘쉬운 수능’ 때문에 논술이 합격 여부를 결정짓는 변수로 떠오르자 최근 서울 강남지역에서 열린 논술설명회장에서 나타난 ‘웃지 못할’ 풍경이다.
실제 논술이 입시에 미치는 영향과 어떤 문제가 나오는지를 살펴보자.
◇논술의 영향력
논술고사를 실시하는 25개 대학은 총점에서 2∼10%를 논술에 배정한다. 총점 800∼1000점 가운데 20∼100점을 논술이 차지하고 있다. 대부분 대학은 논술 점수의 60∼70%에 해당하는 기본 점수를 주지만 서울대는 기본 점수를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때문에 논술에서 최소 8∼30점 이상 점수 차이가 난다고 볼 수 있다.
올해 연세대 성균관대 동국대 등은 기본 점수를 낮춰 수험생을 엄밀히 평가한다는 방침을 세워 논술이 합격에 미치는 영향력이 그 어느해보다 커질 전망이다. 연세대 김하수입학관리처장은 “논술의 기본 점수를 낮춰 변별력을 높이면 논술 1점이 수능의 10점 이상에 해당하는 파급 효과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문제 출제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문제는 대개 통합교과형이나 일반 논술형일 것으로 보인다. ‘동서고금의 명저’인 ‘고전’에서 제시문이 나온다. 지난해 고전 가운데 현대문이 제시문으로 나온 비율이 60∼70%였다. 올해도 이같은 추세는 계속돼 현대문의 비중이 더 커질 수 있다.
▽서울대〓독서량과 논리적 구성력을 평가하는 통합교과형 문제를 출제할 방침. 평가 기준은 주제 및 논지의 명확성과 제재의 다양성, 논리성, 표현력 등이다. 판에 박힌 ‘모범답안’보다 자신의 주장을 논리력있게 내세우는게 중요하다.
▽연세대〓제시문을 정확히 파악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중점적으로 평가한다. 답안지 분량을 ‘1800자’에서 더 늘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제시문을 잘 읽어야하는 심층적 문제를 내거나 지시문을 까다롭게 하고 다양한 감점 기준을 적용한다.
▽고려대〓일반논술형으로 고전에서 예시문을 제시, 주제 파악력과 종합적인 사고력 논증력 문장력 창의성을 평가한다. 문제는 가급적 쉽게 내고 까다롭게 채점할 계획. 15∼20%의 수험생이 논술에서 당락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강대〓통합 교과형으로 고전 제시문을 바탕으로 보편적 주제를 풀어나가는 형태로 출제한다. 논술이 당락에 지나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방침.
이화여대 중앙대 경희대 등은 논거를 충분히 제시하도록 유도해 독서량이 많은 학생에게 유리하도록 출제할 방침이다. 성균관대는 채점을 2∼3단계에서 5단계로 강화하고 부산대는 채점 기준을 세분화하기로 했다.
◇올해의 경향
지난해까지 제시문의 독해력을 중시했으나 올해는 제시문을 바탕으로 현대 사회의 문제점에 묻는데 치중할 것으로 보인다. 많은 대학이 수험생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평이한 문제를 내 수험생의 다양한 생각이 드러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제시문을 이해할 수 있는지를 파악한다.
◇감점당하지 않으려면…
“수험생은 논술에서 점수를 따려고 글을 쓰지만 채점 교수는 흠을 살피고 감점 요소를 찾아내기 위해 글을 읽는다.” (서울대 구인환 국어교육학과명예교수)
논술에서 감점당하지 않으려면 수험생들은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을 알아둬야 한다.
▽답안지 분량을 지켜라〓분량이 기준이 ‘1600±200자’일 때 반드시 1400∼1600자 범위에서 답안을 써야 한다. 한자라도 넘치거나 모자라면 감점될 수 있다. 답안이 규정 분량의 50∼60%를 넘지 못하면 대개 0점 처리된다. ‘∼자 이상’일 때는 제시된 분량 이상을 써야 한다.
▽낙서하지 마라〓‘채점하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 등 채점자와 수험생간 ‘암호’가 될 소지가 있는 낙서가 있으면 0점 처리된다.
▽모호한 표현은 피하라〓‘∼할 수도 있다고 본다’ 등 애매한 표현은 삼가고 분명한 어조를 사용야 한다.
▽현학적 표현은 역효과〓잘 모르는 철학적 용어를 한자로 잘못 적는 등 욕심을 부리면 낭패를 보기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