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863893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바루기] `빻다`와 `찧다`

옛 방앗간 풍경을 묘사한 글을 읽다가 '정미기가 없던 시절 벼를 빻던 디딜방아'라는 사진 설명을 봤다. '빻다'와 '찧다'는 어떻게 다를까.

'찧다'는 곡식 따위를 절구 등에 넣고 쓿거나 부서뜨리기 위해 공이로 여러 번 내려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반해 '빻다'는 '짓찧어서 가루로 만들다'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찧다'는 '빻다'보다는 쓰이는 범위가 좀 더 넓다.

곡물의 껍질을 벗겨내는 일 즉, 도정(搗精)을 표현할 때는 '찧다'만 쓰고 '빻다'는 쓰지 않는다. 그러므로 '방아를 찧다, 벼를 찧다'가 옳고 '방아를 빻다, 벼를 빻다'라고 쓰면 안 된다. 부서뜨린다는 의미로 쓸 때도 '마늘을 찧다, 풋고추를 찧다'처럼 물기가 있는 것을 짓이기는 것을 표현할 때는 '찧다'가 좋으며 '밀을 빻아 밀가루를 만들다, 색깔 있는 돌을 빻아 음식처럼 차렸다 '처럼 마른 곡물이나 기타 단단한 물건을 가루로 만드는 작업에는 '빻다'가 어울린다.

참고로 '찧다'와 '빻다'의 과거형을 표현할 때 '찌었다/빠았다'로 쓰는 사람들이 간혹 있지만 이때는 ㅎ 받침을 그대로 살린 '빻았다/찧었다'가 맞다.

2006/09/13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02 [우리말바루기] 소담하다/소박하다 2007/06/27 중앙일보
1101 [우리말바루기] `과다 경쟁`(?) 2007/06/24 중앙일보
1100 [우리말바루기] 육월/유월 2007/06/17 중앙일보
1099 [우리말바루기] 단박하다(?) 2007/06/13 중앙일보
1098 [우리말바루기] 비속어 2007/06/11 중앙일보
1097 [우리말바루기] `배포`와 `배부` 2007/06/10 중앙일보
1096 [우리말바루기] 시다바리 / 당일바리 2007/06/07 중앙일보
1095 [우리말바루기] `사전(辭典)`과 `사전(事典)` 2007/06/04 중앙일보
1094 [우리말바루기] 체화(體化) 2007/05/31 중앙일보
1093 [우리말바루기] `-라고`와 `-고` 2007/05/29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