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630764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바루기] `-ㄴ바 / -ㄴ 바`

"이번 대학입시에서 공부를 열심히 ①한 바 ②한바 합격할 수 있었다."

위 문장에서 ①과 ② 가운데 어느 띄어쓰기가 맞을까요? 정답부터 얘기하면 '한바'처럼 붙여 써야 합니다. 이때의 '-ㄴ바'는 어미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말에서 '-ㄴ'과 '바'가 연이어 나오는 형태는 두 가지입니다. "서류를 검토한바 몇 가지 미비한 사항이 발견됐다"에서처럼 '-ㄴ바'가 어미일 때와 "거기에 대해서는 아는 바 없다"에서처럼 관형사형 어미 '-ㄴ'과 의존명사 '바'로 구성될 때입니다. 이 두 형태를 의미 차이로 구분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이럴 때 쉬운 구별 방법이 있지요. '바' 뒤에 조사를 붙여 보는 것입니다. 의존명사에는 조사가 붙을 수 있지만 어미 뒤에는 붙을 수 없습니다. 조사를 붙여 보아 어법에 맞으면 '바'는 의존명사이므로 띄어 쓰면 됩니다.

"회사에서 다음과 같이 공지한바 이를 알립니다." "회사에서 지난해 아래 사항을 공지한 바(가) 있습니다." 두 문장 중에서 앞의 것은 '바' 뒤에 조사가 붙을 수 없으므로 '-ㄴ바'가 어미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는 붙여 씁니다. 뒤의 것은 '바' 뒤에 조사가 붙을 수 있으니 의존명사입니다. 그러므로 띄어 씁니다.

"나는 그 사람의 친구인바 그의 어려움을 모르는 척할 수 없다."(어미), "그는 나라의 발전에 공헌하는 바(가) 크다."(의존명사)

2006/12/26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06 [우리말바루기] 개연성/필연성/우연성 2007/07/08 중앙일보
1105 [우리말바루기] 퀴퀴하다 2007/07/05 중앙일보
1104 [우리말바루기] '걸판지게(?)' 놀았다 2007/07/04 중앙일보
1103 [우리말바루기] 입천장이 `데이다`(?) 2007/07/01 중앙일보
1102 [우리말바루기] 소담하다/소박하다 2007/06/27 중앙일보
1101 [우리말바루기] `과다 경쟁`(?) 2007/06/24 중앙일보
1100 [우리말바루기] 육월/유월 2007/06/17 중앙일보
1099 [우리말바루기] 단박하다(?) 2007/06/13 중앙일보
1098 [우리말바루기] 비속어 2007/06/11 중앙일보
1097 [우리말바루기] `배포`와 `배부` 2007/06/10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