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704596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우리말 바로쓰기] 명백한 사실이지 않으냐고 말했다

“언제 돈을 갚느냐고 물었다”라고 하지 “언제 돈을 갚으냐고 물었다”라고 하지 않는다. 거꾸로 “어느 산이 높으냐고 물었다”라고 하지 “어느 산이 높느냐고 물었다”라고 하지 않는다. 여기서 ‘갚다’처럼 동사인 말에는 ‘-느냐’가 쓰이고 ‘높다’처럼 형용사인 말에는 ‘-으냐’가 쓰임을 알 수 있다.

그럼 ‘않다’라는 말에는 ‘-으냐’가 쓰일까, ‘-느냐’가 쓰일까. ‘않다’는 ‘아니하다’의 준말인데 동사도 되고 형용사도 된다. ‘않다’ 앞의 말이 동사이면 ‘않다’도 동사이고 ‘않다’ 앞의 말이 형용사이면 ‘않다’도 형용사이다. ⑴, ⑵에서 보는 것처럼 ‘가다’는 동사이므로 ‘않느냐’가 쓰였고 ‘좋다’는 형용사이므로 ‘않으냐’가 쓰였다.

⑴ 가지 않느냐고 물었다 ⑵ 좋지 않으냐고 물었다

‘않다’ 앞의 말이 ‘-이다’일 때에는 어떻게 될까. ⑶ 명백한 사실이지 않으냐고 말했다 ⑷ 명백한 사실이지 않느냐고 말했다 이때의 ‘-이다’는 서술격조사로서 형용사와 같은 방식으로 활용한다. 따라서 ⑶의 ‘명백한 사실이지 않으냐고 말했다’가 맞다.

더 복잡한 경우를 생각해 보자.

⑸ 설문조사조차 응하질 않지 않으냐고 말했다
⑹ 설문조사조차 응하질 않지 않느냐고 말했다

⑸와 ⑹ 중에서는 ⑹이 맞다. ‘응하다’가 동사이기 때문에 그 다음의 ‘않지’는 동사이고 따라서 마지막 ‘않다’ 역시 동사이다. 그러므로 ‘응하질 않지 않느냐’가 맞다.

2006/12/27 조선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059 [말들의 풍경]`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2007/01/23 한국일보
1058 [돋보기 졸보기] 14. `너머`와 `넘어`의 구별 2007/01/19 한국경제
1057 [말뜻말맛] 뽑다와 캐다 / 김수업 2007/01/15 한겨레
1056 [북녘말] 자욱길 / 김태훈 2007/01/14 한겨레
1055 [국어생각] 이상한 인사말 `너무 감사드립니다` 2007/01/09 주간한국
1054 [국어이야기]`이따가`, `있다가` 2007/01/09 강원일보
1053 [말뜻말맛] 차례와 뜨레 / 김수업 2007/01/08 한겨레
1052 표준어를 사용하는 세 가지 기준은… 2006/12/27 조선일보
1051 [우리말 바로쓰기] 명백한 사실이지 않으냐고 말했다 2006/12/27 조선일보
1050 [국어생각] 법령문, 이렇게 달라진다 2006/12/22 주간한국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