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721366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돋보기 졸보기] 14. `너머`와 `넘어`의 구별

'산 넘어 남촌'은 없다 "산 너머 남촌에는 누가 살길래/해마다 봄바람이 남으로 오네/아 꽃 피는 사월이면 진달래 향기/밀 익는 오월이면 보리 내음새/어느 것 한가진들 실어 안 오리/남촌서 남풍 불 때 나는 좋데나"

파인(巴人) 김동환의 시 '산 너머 남촌에는'에 곡을 붙여 가수 박재란이 불러 유명해진 노래다.

이 노랫말에 나오는 '산 너머'는 자칫 '산 넘어'로 적기 쉽다.

그런가 하면 '고생이 갈수록 점점 심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산 넘어 산'이란 표현을 쓴다. 이때는 '산 넘어'라고 해야 하나 '산 너머'로 해야 할까.

헷갈리기는 하지만 한 가지만 기억해 두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우선 '넘어'는 동사 '넘다'가 부사어로 쓰인 꼴이다. 따라서 이 말은 '산을 넘어 간다'처럼 동작 개념을 담은 것이다.

이에 비해 '너머'는 전성명사로서 장소(공간) 개념이다. 이렇게 보면 그 쓰임새의 차이가 분명해진다. '넘어'는 동적인 의미를 갖는 데에 쓰이고 '너머'는 정태(靜態)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을 넘어서 계속되는 난관'을 뜻하는 말인 '산 넘어 산'은 '너머'를 쓰면 틀린다. '너머'는 장소를 뜻하므로 '산 너머(에 있는) 마을','창문 너머(로) 아지랑이가…'처럼 쓰인다. 괄호 속에 있는 말이 생략될 수 있는 데서도 알 수 있듯이 처격(處格) 조사가 붙을 수 있다. 그러나 동사로 쓰인 '넘어'에는 조사가 붙지 못한다.

'산 너머 남촌에는…' 할 때도 '산을 넘는' 행위를 뜻하는 게 아니고 '산의 저쪽 공간'에 있는 남촌을 말하는 것이므로 당연히 '너머'를 써야 맞는다. 이런 기준이 세워졌다면 이제 '어깨너머(어깨넘어) 배우다'란 말을 바로 적을 수 있을 것이다. '남이 하는 것을 옆에서 보거나 들어 배움'을 뜻하는 이 표현에선 '옆'이 핵심어인데,이는 동작이 아니라 공간의 개념이다. 따라서 이 말은 '어깨너머'가 맞는 것임을 알 수 있다.

2007/01/19 한국경제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04 [동국대 이유기 교수 논문] `노랫말로 본 1930년대 국어` 2007/04/30 한국일보
1103 [돋보기 졸보기] 28. 문장부호 : 쉼표‥문장에 숨결을 불어넣는 `쉼표` 2007/04/27 한국경제
1102 [정재환의 우리말 바로 쓰기] 생김새가 같지 않을때… 틀리다(×) 다르다(○) 2007/04/24 소년한국일보
1101 [말글찻집] 자리토씨 / 최인호 2007/04/19 한겨레
1100 [말뜻말맛] 슬기와 설미 / 김수업 2007/04/16 한겨레
1099 [우리말 바로쓰기] 자신부터( O ) 자신 부터( X ) 2007/04/11 조선일보
1098 [정재환의 우리말 바로 쓰기] 날 보고 `으사 선생님`이래? 2007/04/03 소년한국일보
1097 [돋보기 졸보기] 24. 로봇과 로보트‥`로봇`과 `팀워크`의 차이 2007/03/30 한국경제
1096 [국어생각] 멀리하고 싶은 `와중` 2007/03/27 주간한국
1095 [우리말 바로 쓰기] 단모음과 이중 모음의 차이는? 2007/03/27 소년한국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