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677174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돋보기 졸보기] 19. 민들레 홀씨 … 민들레에는 홀씨가 없다

10여년 전 한 침대회사에서 만든 광고."침대는 가구가 아닙니다. 과학입니다." 한국광고대상을 받기도 한 이 광고 문구는 광고로서는 성공했을지 몰라도 일반 언어생활에 끼친 부작용도 컸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초등학생들이 시험 때 '다음 중 가구가 아닌 것은?'이란 질문에 줄줄이 '침대'를 골랐다는 웃지 못할 얘기다.

대중매체 못지 않게 노랫말도 언중의 말글살이에 큰 영향을 미친다.

"달빛 부서지는 강둑에 홀로 앉아 있네~ 소리 없이 흐르는 저 강물을 바라보면~ (…) 어느새 내 마음 민들레 홀씨 되어~ 강바람 타고 훨훨 네 곁으로 간다…" 가수 박미경이 1985년 강변가요제에서 불러 크게 히트한 이 노래는 '민들레 홀씨 되어'다.

아름다운 노랫말로 대중의 사랑을 받았지만 이로 인해 '민들레 홀씨'란 말이 자연스럽게 굳어졌다.

하지만 '민들레 홀씨'란 것은 없다.

민들레는 홀씨식물이 아니라는 얘기다.

홀씨는 고사리나 이끼식물과 곰팡이,버섯 등의 균류같이 꽃을 피우지 못하는 무성(無性)생식 식물이 생식을 하기 위해 만드는 세포를 말한다.

한자어로는 포자(胞子)라고도 한다.

이들은 홀씨를 만들어 바람에 흩날려 이동함으로써 번식을 한다.

그런데 민들레는 꽃을 피워 열매를 맺는 유성(有性)생식 식물로서 홀씨라고 하지 않고 씨앗(한자어로는 종자)이라고 한다.

다만 씨앗을 감싸고 있는 솜털째 바람에 날리는 점이 홀씨식물과 비슷해 이로 인해 민들레 씨앗을 홀씨라 부른 듯하다.

말은 언중이 수용하고 사용하는 정도에 따라 본래의 형태와 달라졌어도 단어로 인정되곤 한다.

과거에 쓰던 강남콩이나 삭월세,미류나무,미싯가루 등이 시간이 흐르면서 강낭콩,사글세,미루나무,미숫가루로 형태를 바꿔 자리잡은 게 그런 경우다.

하지만 '민들레 홀씨'가 잘못된 표현임은 학술적·과학적 분류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아무리 사람들이 많이 쓴다고 해도 여전히 틀린 말로 남을 뿐이다.

2007/02/23 한국경제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09 우리말 바로 쓰기 2007/05/10 조선일보
1108 [씨줄날줄] 이름 표기/이용원 수석논설위원 2007/05/07 서울신문
1107 [국어생각] `출사표`의 변신 2007/05/02 주간한국
1106 [국어이야기]훑어보다 샅샅이 2007/05/01 강원일보
1105 [말뜻말맛] 맑다와 밝다 / 김수업 2007/04/30 한겨레
1104 [동국대 이유기 교수 논문] `노랫말로 본 1930년대 국어` 2007/04/30 한국일보
1103 [돋보기 졸보기] 28. 문장부호 : 쉼표‥문장에 숨결을 불어넣는 `쉼표` 2007/04/27 한국경제
1102 [정재환의 우리말 바로 쓰기] 생김새가 같지 않을때… 틀리다(×) 다르다(○) 2007/04/24 소년한국일보
1101 [말글찻집] 자리토씨 / 최인호 2007/04/19 한겨레
1100 [말뜻말맛] 슬기와 설미 / 김수업 2007/04/16 한겨레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