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680281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우리말 바로 쓰기] 그 아이들은 김치가 (o)

그 아이들은 김치는 (X)

(1) 그 아이들은 김치는 밥 먹을 때 빠지면 안 된다는 사람들을 보면 이해가 되지 않을 것이다.

(1)에서 ‘그 아이들’에 조사 ‘은’이 사용되었고 ‘김치’에 조사 ‘는’이 사용되었다. ‘은’과 ‘는’은 그 앞의 말에 받침이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가 있을 뿐 의미나 기능은 같다.

그런데 (1)처럼 주제의 기능인 ‘은/는’이 연이어 나오는 것은 좋지 않다. 한 문장에서 주제는 하나인 게 보통이므로 주제를 나타내는 ‘은/는’은 한번만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1)은 (2)처럼 ‘김치는’의 특수조사 ‘는’을 주격조사인 ‘가’로 바꾸는 것이 좋다.

(2) 그 아이들은 김치가 밥 먹을 때 빠지면 안 된다는 사람들을 보면 이해가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2)보다는 (3)이 더 알기가 쉽다.

(3) 그 아이들은 밥 먹을 때 김치가 빠지면 안 된다는 사람들을 보면 이해가 되지 않을 것이다.

(2)가 어색한 것은 ‘김치가’와 연결되는 동사는 ‘빠지면’인데 그 사이에 ‘밥 먹을 때’가 끼어들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주어와 동사가 바로 이어진 (3)은 자연스럽다.

어떤 경우에도 ‘은/는’을 한번만 써야 하는 것은 아니다.

(4) 영수는 수학은 잘 하지만 국어는 잘 하지 못한다.

(4)에서 ‘영수는’에도 ‘는’이, ‘수학은’에도 ‘은’이 쓰였지만 아주 자연스럽다. (4)가 자연스러운 것은 ‘영수는’의 ‘는’은 주제, ‘수학은’의 ‘은’은 대조의 뜻을 지녀서 기능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2007/02/28 조선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09 우리말 바로 쓰기 2007/05/10 조선일보
1108 [씨줄날줄] 이름 표기/이용원 수석논설위원 2007/05/07 서울신문
1107 [국어생각] `출사표`의 변신 2007/05/02 주간한국
1106 [국어이야기]훑어보다 샅샅이 2007/05/01 강원일보
1105 [말뜻말맛] 맑다와 밝다 / 김수업 2007/04/30 한겨레
1104 [동국대 이유기 교수 논문] `노랫말로 본 1930년대 국어` 2007/04/30 한국일보
1103 [돋보기 졸보기] 28. 문장부호 : 쉼표‥문장에 숨결을 불어넣는 `쉼표` 2007/04/27 한국경제
1102 [정재환의 우리말 바로 쓰기] 생김새가 같지 않을때… 틀리다(×) 다르다(○) 2007/04/24 소년한국일보
1101 [말글찻집] 자리토씨 / 최인호 2007/04/19 한겨레
1100 [말뜻말맛] 슬기와 설미 / 김수업 2007/04/16 한겨레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