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700987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돋보기 졸보기] 20. 단어의 변신: `ㅂ`불규칙

'고마워'와 '도와'의 차이

'고마와하기는커녕', '이름도 아름다와 금강이라네', '입춘이 지났지만 아직 바람이 차가와'….

현행 한글맞춤법(1988년)이 나온 지 20년 가까이 됐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이런 표기를 쓰는 이들이 있다.

바로 '고마와, 아름다와, 차가와' 같은 말들이다.

우리말의 동사나 형용사는 어간에 여러 개의 어미가 붙어 다양한 의미 변화를 주는데 이를 '활용'이라 한다.

활용할 때 보통 어간은 변하지 않는데 이를 규칙활용이라 하고 어간의 형태가 함께 변하는 것을 불규칙 활용이라 한다.

'아름답다, 고맙다, 차갑다, 괴롭다, 춥다, 무겁다, 서럽다…' 등과 같이 어간이 'ㅂ'받침으로 끝나는 말의 대부분은 'ㅂ'불규칙 용언이다.

이들은 활용할 때 어간에 있는 받침 'ㅂ'이 불규칙적으로 변한다.

가령 '아름답고, 아름답게, 아름답지' 등처럼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올 때는 어간의 모습에 변화가 없다가도,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받침 'ㅂ'이 '오/우'로 바뀐다.

(아름다워, 아름다운, 아름다우니 등)

이때 과거에는 모음조화 현상에 따라 어간이 양성모음일 때는 '아름다와, 고마와, 차가와, 괴로와' 같이 어미 '-와'를, 어간이 음성모음일 때는 '추워, 무거워, 서러워'와 같이 어미 '-워'를 취했으나 현행 맞춤법에서는 이를 일률적으로 '-워'로 통일해 적도록 했다.

현실의 발음 형태를 인정한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ㅂ'받침 용언(여기에는 접미사 '-답다,-스럽다,-롭다'가 붙어 된 단어도 해당한다)의 활용형은 어간의 양성·음성에 관계없이 어미를 '-워'로 쓴다고 알아두면 된다.

다만 '곱다'와 '돕다' 두 단어의 경우만 실제 발음도 '-와'로 나오므로 '고와' '도와'로 적는다.

물론 '(손)꼽다, 뽑다, 씹다, 업다, 잡다, 접다' 등과 같이 규칙적으로 활용하는 용언은 당연히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2007/03/02 한국경제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09 우리말 바로 쓰기 2007/05/10 조선일보
1108 [씨줄날줄] 이름 표기/이용원 수석논설위원 2007/05/07 서울신문
1107 [국어생각] `출사표`의 변신 2007/05/02 주간한국
1106 [국어이야기]훑어보다 샅샅이 2007/05/01 강원일보
1105 [말뜻말맛] 맑다와 밝다 / 김수업 2007/04/30 한겨레
1104 [동국대 이유기 교수 논문] `노랫말로 본 1930년대 국어` 2007/04/30 한국일보
1103 [돋보기 졸보기] 28. 문장부호 : 쉼표‥문장에 숨결을 불어넣는 `쉼표` 2007/04/27 한국경제
1102 [정재환의 우리말 바로 쓰기] 생김새가 같지 않을때… 틀리다(×) 다르다(○) 2007/04/24 소년한국일보
1101 [말글찻집] 자리토씨 / 최인호 2007/04/19 한겨레
1100 [말뜻말맛] 슬기와 설미 / 김수업 2007/04/16 한겨레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