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82684270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교육, 학술
인터넷언어-이모티콘, 고교 교육과정에 포함
‘문: 이모티콘은 어떤 단어가 조합돼 만들어졌는가.’
‘답: 이모션과 아이콘의 합성어다.’
현재 초등학교 6학년생은 고교 2학년생이 되는 2012년부터 인터넷이나 언론, 영화, 광고 등에서 쓰이는 ‘매체언어’를 배우게 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인적자원부는 현재 6개인 고교 국어 선택과목(국어생활 화법 독서 작문 문법 문학)에 2012년부터 매체언어를 추가하기 위해 올해부터 교육과정을 연구하기로 했다고 4일 밝혔다.
책 신문 잡지 라디오 TV 사진 영화 인터넷 등의 매체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제3의 언어’라고 불릴 만큼 비중이 커지고 있어 매체언어 과목은 이런 언어의 개념이나 특성, 역할 등을 토론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인터넷에서 주로 쓰이는 신조어나 이모티콘의 변천사와 영향력, 과도한 인터넷 언어의 부작용인 세대 간 단절 등도 이 과목의 주제가 될 예정이다.
교육부는 올해 말까지 매체언어 과목의 교육과정 해설서를 작성하고 내년부터 교과서 발행 작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2007/03/05 동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09
우리말 바로 쓰기
2007/05/10
조선일보
1108
[씨줄날줄] 이름 표기/이용원 수석논설위원
2007/05/07
서울신문
1107
[국어생각] `출사표`의 변신
2007/05/02
주간한국
1106
[국어이야기]훑어보다 샅샅이
2007/05/01
강원일보
1105
[말뜻말맛] 맑다와 밝다 / 김수업
2007/04/30
한겨레
1104
[동국대 이유기 교수 논문] `노랫말로 본 1930년대 국어`
2007/04/30
한국일보
1103
[돋보기 졸보기] 28. 문장부호 : 쉼표‥문장에 숨결을 불어넣는 `쉼표`
2007/04/27
한국경제
1102
[정재환의 우리말 바로 쓰기] 생김새가 같지 않을때… 틀리다(×) 다르다(○)
2007/04/24
소년한국일보
1101
[말글찻집] 자리토씨 / 최인호
2007/04/19
한겨레
1100
[말뜻말맛] 슬기와 설미 / 김수업
2007/04/16
한겨레
제목
◀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
405/515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