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537842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호텔서 한국말 쓰면 서비스 `냉랭`



호텔서 영어 못하면 `왕따`? .. 한국말 쓰면 서비스 `냉랭`

"한국에 있는 호텔에서 한국어 대신 영어를 써야 서비스를 제대로 받을 수 있다니 웬지 서글픈 생각이 듭니다"
미국계 투자은행에서 일하고 있는 재미교포 손모(31)씨.
그는 사업 관계로 매년 한달 이상을 용산구 한남동 H호텔에 머문다.
처음 이곳에 머물게 됐을 때 손씨는 고국에 돌아온 것을 기뻐하며 되도록이면 한국어를 사용했다.
다소 서툴긴해도 조국 땅에서 정깊은 우리말을 마음껏 쓸 수 있다는게 가슴 흐뭇했다.
그러나 특급호텔에 어울리지 않게 만족스런 서비스가 이뤄지지 않았다.
화가 난 손씨는 더듬거리는 한국어 대신 유창한 영어로 항의를 했다.
그러자 종업원들의 태도가 달라졌다.
이후로는 부탁하는 일도 순식간에 해결됐다.
손씨는 이 호텔에서 겪었던 어처구니 없는 일을 동료들에게 한탄조로 털어놨다.
그러자 대부분이 영어를 모국어처럼 구사하는 동료들은 그 호텔에서 영어를 써야 대접 받을 수 있는 건 상식이라며 오히려 손씨를 일깨워 줬다.
이 호텔에서 외국인은 물론 칙사대접을 받는다.

H사에 다니는 이모(33)씨는 얼마전 휴가 패키지 상품을 이용하기 위해 이 호텔에 들렀다.
남편의 도착이 늦어져 그녀는 혼자 커다란 가방을 두개나 든채 힘겨워하고 있었다.
이때 벨보이가 이씨 쪽으로 뛰어왔다.
그러나 짐을 넘기려는 순간,벨보이는 이씨를 그냥 지나쳐 뒤따라오던 외국인 여자 앞으로 다가갔다.
외국인 손에 들린 작은 손가방을 들어주기 위해서였다.
이밖에도 식당에서 외국인한테 우선 주문을 받는 등 내국인 차별 사례는 이 호텔에서 수없이 목격된다.
이씨는 "국제화란 외국인을 무조건 떠받드는 건 아닐 것"이라며 "같은 돈을 받으면서 내외국인을 차별대우하는 것은 도저히 이해할수 없다"고 흥분했다.

2001/07/10 한국경제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09 비난과 야유의 현수막은 그만... 2001/07/24 한국일보
108 호텔서 한국말 쓰면 서비스 `냉랭` 2001/07/10 한국경제
107 조어 후진국 2001/07/06 중앙일보
106 이 비석 건드리면 천벌 2001/07/05 스포츠투데이
105 전문방송인도 언어오용 마찬가지 2001/06/22 국민일보
104 전문 방송인도 발음 문법등 많이 틀려 2001/06/20 매일경제
103 언론 장애인 비하어 사용 여전 2001/06/20 연합뉴스
102 일본, 한국어 통역 수요 급증 2001/06/19 연합뉴스
101 한글맞춤법이 엉망인 중국 항공기 2001/06/15 스포츠투데이
100 부산말에 부산 정신이 있다 2001/06/09 부산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