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620614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바루기] 체화(體化)

가톨릭에서는 하느님의 아들이 사람으로 태어남을 가리켜 '육화(肉化)'라고 한다. 신이 인간의 육신을 받음으로써 사람이 되었다는 것이다. 곧, '육화'는 '육신으로 변화함'이란 뜻이다. '물화(物化)'는 '사물로 변화함', '귀화(鬼化)'는 '귀신이 됨. 또는 귀신이 되게 함'이란 의미다.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체화(體化)'라는 말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짜인 단어로,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물체로 변화함. 또는 물체로 변화시킴'이라고 설명돼 있다. 이 정의는 글자의 뜻을 좇아 풀이한 것임에 틀림없다.

문제는 실제 언어생활에서 '체화'가 이런 의미로만 쓰이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자신과 궁합이 잘 맞는 한 작가의 작품을 오랫동안 꾸준히 받아쓰게 되면 그의 문체와 표현기법이 내 것처럼 체화된다" "허풍이 아니라 진실성이 체화돼 저절로 우러나오는 표현이어야 남을 움직일 수 있다" "그는 군더더기 하나 없는 깔끔한 연기 톤을 시종일관 유지하면서 자신에게 주어진 캐릭터를 체화했다" 같은 예문을 보자.

이들 문장에서는 '체화'가 어떤 현상이 '몸에 뱀/익음' '충분히 익혀 내 몸의 일부가 된 것처럼 자연스럽게 됨'을 뜻한다. '물체로 변화함/변화시킴'이란 뜻이 아니라 '체득(體得)'과 비슷한 의미로 쓰였다. 이런 현실을 받아들여 훈민정음 국어사전(금성출판사)은 '체화'를 '어떤 능력을 자동적.무의식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몸에 익히는 것'으로 풀이했다. 일상에서 사용되는 '체화'의 뜻이 사전에 추가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07/05/31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06 [우리말바루기] 개연성/필연성/우연성 2007/07/08 중앙일보
1105 [우리말바루기] 퀴퀴하다 2007/07/05 중앙일보
1104 [우리말바루기] '걸판지게(?)' 놀았다 2007/07/04 중앙일보
1103 [우리말바루기] 입천장이 `데이다`(?) 2007/07/01 중앙일보
1102 [우리말바루기] 소담하다/소박하다 2007/06/27 중앙일보
1101 [우리말바루기] `과다 경쟁`(?) 2007/06/24 중앙일보
1100 [우리말바루기] 육월/유월 2007/06/17 중앙일보
1099 [우리말바루기] 단박하다(?) 2007/06/13 중앙일보
1098 [우리말바루기] 비속어 2007/06/11 중앙일보
1097 [우리말바루기] `배포`와 `배부` 2007/06/10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