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531016 명
  깁고 더함 2007/12/28
   
 
 
 
  정책, 규정
전문 외래어는 별도 설명 필요



지난해 12월28일자 A7면 ‘문화칼럼’에 실린 ‘진솔하고 다양한 삶 보고 싶다’를 읽고 쓴다. 지난 한 해 한국의 영화계를 정리하는 유익한 글이었다. 그런데 내용 중에 외래어가 27개나 있었다. 영화제 이름, 전문용어, 영화잡지 이름, 기술에 관한 용어였다. 글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

일반 독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용어들이 섞여 있을 경우 그 글의 내용을 전부 이해하기는 어렵다. 일반인에게 익숙하지 않은 외래어는 괄호 안에 우리말로 풀어써 준다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김 희 용(전남 여수시 광무동)



2001/01/08 동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25 2만원짜리 `효제례의` 발행 2006/08/10 파이낸셜뉴스
224 [우리말 다듬기]`휘핑` 순화어 `거품크림`으로 2006/08/04 동아일보
223 `수퍼맨`은 `슈퍼맨`으로 돌아왔어야 2006/08/01 국정브리핑
222 태극기·한글·청자… 이것이 한국대표 2006/07/26 한국일보
221 [우리말 다듬기]`언론플레이`순화어 `여론몰이`로 2006/07/21 동아일보
220 [우리말 다듬기]`키맨` 순화어 `중추인물`로 결정 2006/07/14 동아일보
219 전국 310곳 지명 바뀐다 2006/07/13 프라임경제
218 솜반내-선반내 명칭 놓고 논란 2006/07/08 제주일보
217 새 국새 봉황 손잡이에 훈민정음체로 2006/07/07 서울신문
216 방송사. 외국선수 표기·발음 `엉터리` 2006/06/15 서울경제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