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52114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정책, 규정
전문 외래어는 별도 설명 필요



지난해 12월28일자 A7면 ‘문화칼럼’에 실린 ‘진솔하고 다양한 삶 보고 싶다’를 읽고 쓴다. 지난 한 해 한국의 영화계를 정리하는 유익한 글이었다. 그런데 내용 중에 외래어가 27개나 있었다. 영화제 이름, 전문용어, 영화잡지 이름, 기술에 관한 용어였다. 글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

일반 독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용어들이 섞여 있을 경우 그 글의 내용을 전부 이해하기는 어렵다. 일반인에게 익숙하지 않은 외래어는 괄호 안에 우리말로 풀어써 준다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김 희 용(전남 여수시 광무동)



2001/01/08 동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94 화학용어 영어식표기로 2003/12/23 문화일보
193 반말·비속어 쓴 연예인 옐로카드! 2003/11/05 스포츠투데이
192 [역사속의 오늘] 11월4일 2003/11/03 조선일보
191 외래어.외국어로 된 영화용어 우리말로 순화 2003/11/03 연합뉴스
190 각의, 한글화 특별조치법 처리 2003/08/26 연합뉴스
189 "색이름 변경" 2003/10/21 edaily
188 국어능력 검정시험 내달14일 실시 2003/10/19 경향신문
187 현대건설, `건설용어 우리말 씁시다` 2003/10/08 연합뉴스
186 한글학회, `우리 말글 지킴이`로 김태응씨 선정 2003/10/02 연합뉴스
185 청와대 외국어표기 직제 우리말로 바꿔 2003/09/26 한겨레신문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