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52114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정책, 규정
전문 외래어는 별도 설명 필요



지난해 12월28일자 A7면 ‘문화칼럼’에 실린 ‘진솔하고 다양한 삶 보고 싶다’를 읽고 쓴다. 지난 한 해 한국의 영화계를 정리하는 유익한 글이었다. 그런데 내용 중에 외래어가 27개나 있었다. 영화제 이름, 전문용어, 영화잡지 이름, 기술에 관한 용어였다. 글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

일반 독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용어들이 섞여 있을 경우 그 글의 내용을 전부 이해하기는 어렵다. 일반인에게 익숙하지 않은 외래어는 괄호 안에 우리말로 풀어써 준다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김 희 용(전남 여수시 광무동)



2001/01/08 동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84 국어기본법 입법예고 2003/09/25 연합뉴스
183 방송위 외국어 제목 등 실태조사 2003/09/24 스포츠투데이
182 국립국어연구원, 국어 순화 세미나 2003/09/22 연합뉴스
181 ‘∼이에요’와 ‘∼예요’의 쓰임새 2003/09/18 파이낸셜뉴스
180 제9회 국어능력인증시험 시행 2003/09/18 중앙일보
179 우리말 가게이름에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선정 2003/09/04 연합뉴스
178 `우리 말글 지킴이`에 김선덕씨 선정 2003/08/28 연합뉴스
177 ‘아리랑치기’ 명칭 ‘부축빼기’로 2003/08/20 경향신문
176 신세대 군대, 비속어 사라진다 2003/08/17 일간스포츠
175 문화연대, 언어정책 토론회 개최 2003/08/16 연합뉴스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