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524468 명
  깁고 더함 2007/12/28
   
 
 
 
  정책, 규정
전문 외래어는 별도 설명 필요



지난해 12월28일자 A7면 ‘문화칼럼’에 실린 ‘진솔하고 다양한 삶 보고 싶다’를 읽고 쓴다. 지난 한 해 한국의 영화계를 정리하는 유익한 글이었다. 그런데 내용 중에 외래어가 27개나 있었다. 영화제 이름, 전문용어, 영화잡지 이름, 기술에 관한 용어였다. 글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

일반 독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용어들이 섞여 있을 경우 그 글의 내용을 전부 이해하기는 어렵다. 일반인에게 익숙하지 않은 외래어는 괄호 안에 우리말로 풀어써 준다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김 희 용(전남 여수시 광무동)



2001/01/08 동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64 고대-연대도 교내 국어경시대회 폐지 2003/05/15 동아일보
163 국어능력 검정시험 내달14일 실시 2003/05/14 경향신문
162 서울대, 국어경시대회 폐지 2003/05/11 한겨레신문
161 밭다리? 밧다리? 씨름용어통일 추진 2003/05/08 일간스포츠
160 모든 법률條文 한글로 바꾼다 2003/05/04 한국일보
159 교과서에 실린 모든 작품 저작자 명기키로 2003/05/04 경향신문
158 어문언론인회, 한국어문언론인협회로 개칭 2003/04/21 연합뉴스
157 [우리말]국어 기본법안의 세 가지 문제점 2003/04/16 한겨레신문
156 [우리말]`국어기본법안` 문제조항 고쳐야 2003/04/13 한겨레신문
155 `귀순` 용어 바꾸자…`탈북` 등 제안 2003/04/07 한겨레신문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