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524468 명
  깁고 더함 2007/12/28
   
 
 
 
  정책, 규정
전문 외래어는 별도 설명 필요



지난해 12월28일자 A7면 ‘문화칼럼’에 실린 ‘진솔하고 다양한 삶 보고 싶다’를 읽고 쓴다. 지난 한 해 한국의 영화계를 정리하는 유익한 글이었다. 그런데 내용 중에 외래어가 27개나 있었다. 영화제 이름, 전문용어, 영화잡지 이름, 기술에 관한 용어였다. 글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

일반 독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용어들이 섞여 있을 경우 그 글의 내용을 전부 이해하기는 어렵다. 일반인에게 익숙하지 않은 외래어는 괄호 안에 우리말로 풀어써 준다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김 희 용(전남 여수시 광무동)



2001/01/08 동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54 [교육] 국어능력 검정시험 등 도입 2003/04/02 한국일보
153 `21세기 세종계획` 추진, 국어정보화사업 19억투입 2003/03/05 디지털타임스
152 법의.부검용어 우리말로 바꿔 사용 2003/02/27 연합뉴스
151 러시아상원 외래어금지법 부결 2003/02/13 경향신문
150 러시아 하원, 모국어 순화법 통과 2003/02/06 연합뉴스
149 <어려운 연극.금융.부검 용어 순화> 2003/01/29 연합뉴스
148 아피→닭살등 부검용어 쉬운 우리말로 2003/01/15 한국일보
147 한글날 국경일 지정 검토 2003/01/14 매일경제
146 국어기본법 제정 검토(종합) 2003/01/13 연합뉴스
145 문화부 "우리말 퀴즈프로 참여도 높아져" 2003/01/08 연합뉴스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