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52114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정책, 규정
전문 외래어는 별도 설명 필요



지난해 12월28일자 A7면 ‘문화칼럼’에 실린 ‘진솔하고 다양한 삶 보고 싶다’를 읽고 쓴다. 지난 한 해 한국의 영화계를 정리하는 유익한 글이었다. 그런데 내용 중에 외래어가 27개나 있었다. 영화제 이름, 전문용어, 영화잡지 이름, 기술에 관한 용어였다. 글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

일반 독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용어들이 섞여 있을 경우 그 글의 내용을 전부 이해하기는 어렵다. 일반인에게 익숙하지 않은 외래어는 괄호 안에 우리말로 풀어써 준다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김 희 용(전남 여수시 광무동)



2001/01/08 동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44 <금융용어 알기 쉽게 바뀐다> 2002/12/25 연합뉴스
143 "골 세리머니를 득점 뒤풀이로" 2002/12/12 연합뉴스
142 안전검사대상 수입품 `한글 설명서` 의무화 2002/12/06 동아일보
141 연극·영화용어 우리말로 순화 2002/12/02 연합뉴스
140 <`살색` 명칭 `연주황`으로 변경> 2002/11/26 연합뉴스
139 인터넷서 `국어발전계획` 여론수렴 2002/11/22 연합뉴스
138 `동성애` 차별적 표현 사라진다 2002/11/15 연합뉴스
137 美교포 대상 로마자 바로쓰기 운동 2002/11/11 연합뉴스
136 외솔 최현배 선생 생가복원 본격 추진 2002/11/05 국민일보
135 문광부, 국어발전 종합계획 공개 토론회 개최 2002/11/01 전자신문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