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519728 명
  깁고 더함 2007/12/28
   
 
 
 
  정책, 규정
전문 외래어는 별도 설명 필요



지난해 12월28일자 A7면 ‘문화칼럼’에 실린 ‘진솔하고 다양한 삶 보고 싶다’를 읽고 쓴다. 지난 한 해 한국의 영화계를 정리하는 유익한 글이었다. 그런데 내용 중에 외래어가 27개나 있었다. 영화제 이름, 전문용어, 영화잡지 이름, 기술에 관한 용어였다. 글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

일반 독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용어들이 섞여 있을 경우 그 글의 내용을 전부 이해하기는 어렵다. 일반인에게 익숙하지 않은 외래어는 괄호 안에 우리말로 풀어써 준다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김 희 용(전남 여수시 광무동)



2001/01/08 동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24 영문표기 인터넷사전 각광 2002/09/26 내외경제
123 한국어 교사 양성과정 개설 2002/09/09 동아일보
122 외래어심의공동위 심의결과 발표 2002/09/06 연합뉴스
121 <초점> 한-일 `동해 표기` 치열한 외교전 2002/09/01 연합뉴스
120 무료한글교실 학생모집 2002/08/29 한국일보
119 경찰 일본식 용어우리말로 바꾼다 2002/08/15 매일경제
118 서울大 입시 2005학년도부터 논술 부활 2002/08/02 동아일보
117 「연탄길」초등생 국어교과서에 수록 2002/08/02 연합뉴스
116 신체표현 우리말로 고친다 .. 내년부터 2002/07/26 한국경제
115 질병이름 쉽게 바꾼다 2002/07/26 국민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