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62208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바루기] 소담하다/소박하다

"이번 여행은 시엠리아프 공항의 소담함으로 시작됐다. 앙코르와트 여행객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 분명한 조그만 공항, 시골 역 같았지만 정감 있는 모습이었다." "청소역은 소담한 시골 역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벤치 너비보다 조금 넓어 보이는 이 역에는 철봉으로 만들어진 출입구가 있는데 아직도 넓은 모자를 쓴 역무원 아저씨가 서서 펀치로 마분지 기차표에 구멍을 뚫어줄 것만 같다."

위의 두 글에는 '소담함' '소담한'이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이들은 문맥에 어울리지 않는 표현이다. '소담하다'라는 형용사는 '생김새가 탐스럽다' '음식이 풍족하여 먹음직하다'란 뜻을 지니고 있다. 첫째 글을 보면 시엠리아프는 소도시의 조그마한 공항이다. 규모와 시설이 시골 역 비슷하다. 이런 공항을 두고 '소담하다'는 표현을 사용했고 둘째 글의 경우도 아주 조그만 간이역에 대해 똑같은 표현을 썼다. 비유적으로 쓴 것이 아니라면 두 예문에서는 '소담함' '소담한'을 '소박함' '소박한'으로 바꿔줘야 뜻이 정확히 전달될 것이다.

인터넷에 올라온 글들을 살펴보면 이처럼 '소담하다'가 '소박(素朴)하다'나 '아담(雅淡)하다'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이 꽤 많다. '소담하다'는 "화성은 언제라도 걷기 좋지만 소담하게 눈이 내린 뒤에는 더욱 운치가 난다" "소담하게 핀 수국을 꽂은 꽃병도 하나 놓았다"처럼 쓰는 게 바른 용법이다.

2007/06/27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06 [우리말바루기] 개연성/필연성/우연성 2007/07/08 중앙일보
1105 [우리말바루기] 퀴퀴하다 2007/07/05 중앙일보
1104 [우리말바루기] '걸판지게(?)' 놀았다 2007/07/04 중앙일보
1103 [우리말바루기] 입천장이 `데이다`(?) 2007/07/01 중앙일보
1102 [우리말바루기] 소담하다/소박하다 2007/06/27 중앙일보
1101 [우리말바루기] `과다 경쟁`(?) 2007/06/24 중앙일보
1100 [우리말바루기] 육월/유월 2007/06/17 중앙일보
1099 [우리말바루기] 단박하다(?) 2007/06/13 중앙일보
1098 [우리말바루기] 비속어 2007/06/11 중앙일보
1097 [우리말바루기] `배포`와 `배부` 2007/06/10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