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699510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바루기] 갸날픈(?) 코스모스

처서를 지나서도 이어지는 비와 무더위에 과연 가을이 올까 의구심이 들었는데 그래도 계절의 순환은 어김없이 이뤄지는 모양이다. 요 며칠 사이 높고 청명해진 하늘에는 비늘구름이 뜨고 도시를 조금 벗어나면 길가에 가을꽃의 대명사인 코스모스가 하늘거린다. 긴 줄기 끝에 달린 코스모스 꽃잎은 하나씩 볼 때는 단순하고 별로 인상적이지 않지만 무리 지어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은 아름답기 그지없다.

연약한 코스모스의 자태를 묘사할 때 흔히 '갸날프다'란 표현을 쓴다. "키도 크고 목도 긴 그 여선생님의 갸날픈 모습을 뵐 때마다 코스모스가 떠올랐어요." "여리디여린 갸날픈 몸으로 하늘을 나는 양 제 몸 흔들어 가을 문 여는 네 모습이 참 곱기도 해라." 하지만 이때의 '갸날프다'는 '가냘프다'를 잘못 쓴 것이다. '가냘프다'는 '몹시 가늘고 연약하다'라는 뜻으로 '가녀리다'로 바꿔 써도 비슷한 의미가 된다.

'가냘프다'를 활용할 때도 "너무 가냘퍼 바람이라도 불면 금방 허리가 부러질 것 같다"처럼 '가냘퍼'라고 쓰기 쉬운데 '가냘파'가 맞다. 일반적인 맞춤법 원칙은 '막다→막아' '돌다→돌아' '겪다→겪어'처럼 어간의 끝 음절 모음이 'ㅏ, ㅗ'일 때는 어미를 '-아'로 적고 그 밖의 모음일 때는 '-어'로 적는다. 그러나 '가냘프다, 바쁘다, 아프다, 고프다 ' 등은 '가냘퍼, 바뻐, 아퍼, 고퍼'가 아니라 '가냘파, 바빠, 아파, 고파' 를 바른 형태로 인정하고 있다.

2007/09/05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68 [우리말바루기] 마는 / 만은 2006/11/28 중앙일보
1167 [우리말바루기] 교체/교환 2006/11/22 중앙일보
1166 [우리말바루기] 양 떼들과 국민들 2006/11/16 중앙일보
1165 [우리말바루기] 헤어지려 하겠노 ? 2006/11/15 중앙일보
1164 [우리말바루기] 유골 / 유해 2006/11/14 중앙일보
1163 [우리말바루기] `고의적인` 방화 2006/11/13 중앙일보
1162 [우리말바루기] `주어지다` 2006/11/12 중앙일보
1161 [우리말바루기] `공권력`의 뜻풀이 2006/11/09 중앙일보
1160 [우리말바루기] 빈대떡의 다른 이름 2006/11/07 중앙일보
1159 [우리말바루기] 그것참…. 2006/11/01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