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673251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바루기] `애저녁에` (?)

"요즘 같은 시대엔 아들 낳았다고 유세할 생각일랑 애저녁에 하지 말아라." "말하는 걸 보니 훌륭한 사람이 되긴 애저녁에 글렀다." "그 일이 불법이란 걸 알았다면 애저녁에 포기했어야 했다." "그 일로 성공하기는 애저녁에 물 건너갔다."

'가다가 중지하면 아니 간 것만 못하다'는 말이 있다. 무슨 일을 열심히 하려고 하는데 다른 사람이 보기에는 결과가 좋지 않을 것 같아 처음부터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충고할 때, 앞 예문에서처럼 '애저녁에 그만둬라(하지 마라)'고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애저녁에'란 표현은 이렇듯 널리 쓰이고는 있지만 어문 규정상 올바르지 않다. '애저녁에'는 '애저녁+에'의 형태로, '처음부터'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지만 표준어가 아니다. 국어사전에도 '애초'의 잘못(사투리에 가깝다)이거나 북한어라고 돼 있다. '애초'는 '맨 처음'이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애초에, 애초부터'처럼 써야 한다.

'애저녁에'란 표현 외에 '애전에' '애진에'라는 표기도 가끔 보이는데, 이 역시 표준어가 아니다. '애초'만이 표준어이며, 나머지는 북한어이거나 일부 지방의 방언이다. 따라서 '애저녁에, 애전에, 애진에' 등은 사투리를 살려 써야 할 상황이 아니면 "끝까지 해낼 각오가 없으면 애초에 시작하지 마라" "그 일은 애초부터 불가능한 것이었다"처럼 '애초에' '애초부터'로 표기해야 한다.

2007/09/12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28 [우리말바루기] `애저녁에` (?) 2007/09/12 중앙일보
1127 [우리말바루기] 쭉지→ 죽지 2007/09/10 중앙일보
1126 [우리말바루기] 갸날픈(?) 코스모스 2007/09/05 중앙일보
1125 [우리말바루기] 쌍거풀(?) 수술 2007/09/04 중앙일보
1124 [우리말바루기] `양수겹장`(?) 2007/09/03 중앙일보
1123 [우리말바루기] 시도하다 2007/09/02 중앙일보
1122 [우리말바루기] 정가/정계 2007/08/30 중앙일보
1121 [우리말바루기] 폭염주의보 2007/08/26 중앙일보
1120 [우리말바루기] 나꿔채다 → 낚아채다 2007/08/19 중앙일보
1119 [우리말바루기] `대비`에서 `대처`까지 2007/08/15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