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568888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상점 우리말 간판 달았으면

도시 간판 중 외래어 간판이 무려 81%나 된다는 보도가 있었다. 외래어 간판을 달면 왠지 고급스럽고 격이 높아지는 것으로 여기는 생각 때문인지 이런 현상이 극에 다다른 것처럼 보인다. 길거리를 다니다 마주치는 간판을 봐도 뜻도 모호하고 어느 나라의 말인지 구분할 수 없는 간판들이 즐비하다.

올해는 한국 방문의 해다. 그리고 내년에는 월드컵이 개최된다. 무엇보다 한국적인 것을 많이 준비해 관광객에게 보여줘야 되지 않겠는가. 거리의 간판에도 세심한 배려가 따라야 할 것이다. 우리에게는 아름다운 고유의 명칭이 수없이 많다. 굳이 외래어를 남발하며 사용할 필요가 있는지 생각해 볼 문제다. 이번 기회에 간판을 아름다운 우리말로 바꿨으면 한다.

(이완세 농장경영·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2001/08/07 매경ECONOMY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69 통신언어 문법파괴 심각 2002/01/22 국민일보
168 [메아리] 글 소개때 비속어 순화해 실었으면 2002/01/22 중앙일보
167 [열린 마당] 응원때 순우리말 구호를 2002/01/18 중앙일보
166 [천자칼럼] 국어 실력 2002/01/18 한국경제
165 [사설] 30점짜리 국어실력 2002/01/18 중앙일보
164 요즘 애들 `이모티콘`으로 통해요 2002/01/17 중앙일보
163 전북지역 농아인 10명중 8명 文盲 2002/01/16 국민일보
162 <국어 사용능력 갈수록 떨어진다> 2002/01/15 연합뉴스
161 캠퍼스 사로잡는 `러브 은어` 2002/01/07 굿데이
160 [신 러브은어의 기원] 사이버 공간 발달, 인터넷 한몫 2002/01/07 굿데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