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0361237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상점 우리말 간판 달았으면

도시 간판 중 외래어 간판이 무려 81%나 된다는 보도가 있었다. 외래어 간판을 달면 왠지 고급스럽고 격이 높아지는 것으로 여기는 생각 때문인지 이런 현상이 극에 다다른 것처럼 보인다. 길거리를 다니다 마주치는 간판을 봐도 뜻도 모호하고 어느 나라의 말인지 구분할 수 없는 간판들이 즐비하다.

올해는 한국 방문의 해다. 그리고 내년에는 월드컵이 개최된다. 무엇보다 한국적인 것을 많이 준비해 관광객에게 보여줘야 되지 않겠는가. 거리의 간판에도 세심한 배려가 따라야 할 것이다. 우리에게는 아름다운 고유의 명칭이 수없이 많다. 굳이 외래어를 남발하며 사용할 필요가 있는지 생각해 볼 문제다. 이번 기회에 간판을 아름다운 우리말로 바꿨으면 한다.

(이완세 농장경영·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2001/08/07 매경ECONOMY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9 오역(誤譯)의 역사 2001/08/17 동아일보
118 사극대사가 비속어 퇴출 2001/08/16 스포츠투데이
117 좋은 우리말 두고 영어 남발 한심 2001/08/14 동아일보
116 방송, 국어 제대로 사용해야 2001/08/10 연합뉴스
115 영화가 맞춤법 망친다 2001/08/10 스포츠투데이
114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 2001/08/09 동아일보
113 상점 우리말 간판 달았으면 2001/08/07 매경ECONOMY
112 [백화종칼럼] 언어폭력과 삶의 질 2001/07/30 국민일보
111 말과 얼 2001/07/24 매일경제
110 어법 무시 노랫말 언어파괴 조장 2001/07/23 동아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