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62865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바루기] `옴쭉달싹 못하다`(?)

"대학입시에 찌든 우리 아이들은 학교와 학원에 묶여 '옴쭉달싹'도 하지 못한다." "내일이 시험이라 그는 하루 내내 '옴쭉달싹'도 하지 않고 공부만 했다." "빚 때문에 발목이 잡혀 '옴쭉달싹'도 못할 지경이다."

'옴쭉달싹'은 '옴쭉'과 '달싹'의 합성어다. '옴쭉'은 '몸의 한 부분을 옴츠리거나 펴거나 하며 한 번 움직이는 모양'을, '달싹'은 '붙어 있던 가벼운 물건이 쉽게 떠들리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이다. 그런데 이 '옴쭉달싹'은 널리 쓰이고는 있지만 현행 맞춤법상 표준어가 아니다. 국어사전에는 '꼼짝달싹'이나 '옴짝달싹'의 잘못이라고 돼 있다. 예전에는 '옴쭉달싹'을 표준어로 삼고 '꼼짝달싹'을 비표준어로 처리했는데, 새로 표준어를 심사해 결정하면서 '꼼짝달싹'을 표준어로, '옴쭉달싹'은 비표준어로 처리했다. '옴짝달싹, 움쭉달싹'도 표준어다.

'옴짝달싹'은 "어머니의 감시 때문에 나는 책상 앞에 앉아서 옴짝달싹도 못하고 있다./너무 무서워서 죽은 듯이 옴짝달싹 않고 있다/ 나갔다 올 테니 너는 집에서 옴짝달싹 말고 있어라"같이 주로 '못하다, 않다, 말다' 따위의 부정어와 함께 쓰여 '몸을 아주 조금 움직이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이다.

2006/10/10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66 [우리말바루기] 양 떼들과 국민들 2006/11/16 중앙일보
1165 [우리말바루기] 헤어지려 하겠노 ? 2006/11/15 중앙일보
1164 [우리말바루기] 유골 / 유해 2006/11/14 중앙일보
1163 [우리말바루기] `고의적인` 방화 2006/11/13 중앙일보
1162 [우리말바루기] `주어지다` 2006/11/12 중앙일보
1161 [우리말바루기] `공권력`의 뜻풀이 2006/11/09 중앙일보
1160 [우리말바루기] 빈대떡의 다른 이름 2006/11/07 중앙일보
1159 [우리말바루기] 그것참…. 2006/11/01 중앙일보
1158 [우리말바루기] 낯가죽이 두텁다(?) 2006/10/25 중앙일보
1157 [우리말바루기] `옴쭉달싹 못하다`(?) 2006/10/10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