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627881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바루기] 낯가죽이 두텁다(?)

얼굴에 철판을 깐 듯 뻔뻔한 사람을 가리켜 '철면피'라고 한다. 출세에 눈이 멀어 권력자에게 온갖 아첨을 서슴지 않았던 중국의 왕광원이란 사람을 두고 "그의 낯가죽은 열 겹 철갑처럼 '두텁다'"고 한 데서 유래한 말이다.

욕을 먹고 채찍질을 당하고도 웃어넘겼다는 왕광원의 얼굴처럼 '두께가 보통의 정도를 넘는다'고 할 때 '두텁다'라는 표현을 사용해도 될까? 이때는 "낯가죽이 두껍다"고 해야 한다.

"모세혈관이 발달한 두꺼운 입술은 열대 지역에서는 체온 조절에 적합하지만 추운 지방에선 열 손실을 증가시킨다"처럼 물리적 두께를 나타내는 경우엔 '두껍다'를 쓰는 게 적절하다. '두텁다'는 "신임이 두텁다" "친분이 두텁다" "우정이 두텁다"와 같이 신의.믿음.관계.인정 따위가 굳고 깊다는 뜻이다.

"두터운 옷 하나를 걸치는 것보다 얇은 옷을 여러 개 겹쳐 입는 게 더 따뜻하다"처럼 '두껍다'를 써야 할 자리에 '두텁다'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올바른 표현이 아니다. 두껍다는 "구름층이 두껍다" "지지층이 두껍다"와 같이 층을 이루는 사물의 높이나 집단 규모가 보통보다 크다, 어둠.안개.그늘이 짙다는 의미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심정(心情)적 관계가 깊음을 나타낼 때는 '두텁다'를 써야 한다.

2006/10/25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66 [우리말바루기] 양 떼들과 국민들 2006/11/16 중앙일보
1165 [우리말바루기] 헤어지려 하겠노 ? 2006/11/15 중앙일보
1164 [우리말바루기] 유골 / 유해 2006/11/14 중앙일보
1163 [우리말바루기] `고의적인` 방화 2006/11/13 중앙일보
1162 [우리말바루기] `주어지다` 2006/11/12 중앙일보
1161 [우리말바루기] `공권력`의 뜻풀이 2006/11/09 중앙일보
1160 [우리말바루기] 빈대떡의 다른 이름 2006/11/07 중앙일보
1159 [우리말바루기] 그것참…. 2006/11/01 중앙일보
1158 [우리말바루기] 낯가죽이 두텁다(?) 2006/10/25 중앙일보
1157 [우리말바루기] `옴쭉달싹 못하다`(?) 2006/10/10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