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0367728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방송, 국어 제대로 사용해야

"깜짝 놀랬죠"(깜짝 놀랐죠), "차 많이 멕혔어요"(차 많이 막혔어요), "오픈된 마인드를 가지고 있어요"(개방적으로 생각해요), "패 를 잘 돌려요"(카드를 잘 섞어서 줘요)...

숱한 지적에도 불구하고 전국의 시청자를 대상으로 여전히 전파를 타고 있는 방송 출연자 및 진행자들의 잘못된 `방송언어`의 현주소다.

국어문화운동본부(회장 남영신)는 지난 7월29일부터 8월4일까지 방영된 KBS 2TV「행복채널」, 「테마쇼 환상특급」, 「夜!한밤에」, 「쇼! 여러분의 토요일」과 1TV의「좋은 나라 운동본부」등 5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방송언어를 검토, 분석한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비표준어, 외국.외래어, 한문투 등 잘못된 어휘를 선택하거나 된소리, 비속어 등 방송에 부적절한 어휘나 표현을 그대로 안방 시청자들에게 전달한 경우가 허다했다.

특히 "우리 나라는 틀리잖아요"(우리 나라는 다르잖아요), "문화가 틀리죠"(문화가 다르죠) 등 `다르다`와 `틀리다`, `놀래다`와 `놀라다`, `바라다`와 `바래다`를 구별하지 못한 채 사용한 경우가 많았다.

"해필이면"(하필이면), "맨져봐요"(만져봐요), "문제가 모냐면"(문제가 뭐냐면),"맨날"(매일), "지 집이래요"(자기 집이래요), "절루 가 앉어"(저리로 가 앉아) 등`습관적으로` 잘못 발음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또한 "젠틀해요"(신사다워요), "키스 씬 아름다워"(키스 장면 아름다워), "지금은 탑 스타지만"(지금은 정상의 스타지만) 등과 같이 외국어, 외래어도 무분별하게 사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국어문화운동본부측은 이에 따라 KBS측에 국어를 품위있고, 제대로 사용하도록 촉구하기 위해 오는 31일 오전 11시30분부터 2시간에 걸쳐 KBS 후문앞에서 피켓 시위를 할 예정이다.

2001/08/10 연합뉴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9 오역(誤譯)의 역사 2001/08/17 동아일보
118 사극대사가 비속어 퇴출 2001/08/16 스포츠투데이
117 좋은 우리말 두고 영어 남발 한심 2001/08/14 동아일보
116 방송, 국어 제대로 사용해야 2001/08/10 연합뉴스
115 영화가 맞춤법 망친다 2001/08/10 스포츠투데이
114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 2001/08/09 동아일보
113 상점 우리말 간판 달았으면 2001/08/07 매경ECONOMY
112 [백화종칼럼] 언어폭력과 삶의 질 2001/07/30 국민일보
111 말과 얼 2001/07/24 매일경제
110 어법 무시 노랫말 언어파괴 조장 2001/07/23 동아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