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54612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좋은 우리말 두고 영어 남발 한심

요즘 들어 잡지를 보면 분명 한글로 씌어 있는데 한글이 아닌 글자가 많다. 예를 들어 ‘모던한’ ‘내추럴한’ ‘엘레강스한’ ‘심플한’ 같은 표현이 그것이다. 이 말들은 얼마든지 ‘현대적인’ ‘자연스러운’‘우아한’ ‘단순한’(혹은 ‘소박한’) 등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색을 표현할 땐 더욱 심하다. ‘레드, 옐로, 블루, 바이올렛 컬러…’ 등등.

이런 현상은 외국잡지의 한국판에서 더욱 심하다. 잡지뿐만 아니라 TV나 간판 등도 마찬가지일 정도로 한글의 수난시대다. 영어를 반드시 써야 유식해 보이는 것인가. 조기 영어교육 열풍으로 아이들마저 제대로 된 한글을 쓰지 못하고 있다. 영어를 할 줄 알더라도 한글은 한글답게 쓸 수 있어야 한다.

최 난 경(경기 광주시 중부면)

2001/08/14 동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99 <미국 10대들의 9.11테러 은어> 2002/03/19 연합뉴스
198 [독자의 목소리] 응원 때 순 우리말 구호를 쓰자 2002/03/19 국민일보
197 [어문규정 준수여부 조사] 부끄러운 ‘우리글 왜곡’ 2002/03/18 국민일보
196 部處홈페이지, 맞춤법 틀리고 어려운 한자어 남용 2002/03/18 국민일보
195 일본인들 "한국어 배우자" 열풍 2002/03/05 중앙일보
194 정부 부처 홈페이지들 우리말 잘못 표기 많다 2002/02/27 소년한국일보
193 금고업계, `저축은행` 전환 앞두고 무더기 상호변경 2002/02/24 연합뉴스
192 세계 언어 3천여종 사라질 위기 2002/02/21 중앙일보
191 알쏭달쏭 콩글리시 표기 2002/02/20 국민일보
190 `통신용 언어` 실생활로 옮겨간다 2002/02/19 일간스포츠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