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56888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좋은 우리말 두고 영어 남발 한심

요즘 들어 잡지를 보면 분명 한글로 씌어 있는데 한글이 아닌 글자가 많다. 예를 들어 ‘모던한’ ‘내추럴한’ ‘엘레강스한’ ‘심플한’ 같은 표현이 그것이다. 이 말들은 얼마든지 ‘현대적인’ ‘자연스러운’‘우아한’ ‘단순한’(혹은 ‘소박한’) 등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색을 표현할 땐 더욱 심하다. ‘레드, 옐로, 블루, 바이올렛 컬러…’ 등등.

이런 현상은 외국잡지의 한국판에서 더욱 심하다. 잡지뿐만 아니라 TV나 간판 등도 마찬가지일 정도로 한글의 수난시대다. 영어를 반드시 써야 유식해 보이는 것인가. 조기 영어교육 열풍으로 아이들마저 제대로 된 한글을 쓰지 못하고 있다. 영어를 할 줄 알더라도 한글은 한글답게 쓸 수 있어야 한다.

최 난 경(경기 광주시 중부면)

2001/08/14 동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89 도넘어선 채팅은어 일상용어까지 변질 2002/02/18 파이낸셜뉴스
188 `社內사용 언어` 골치 .. 일본계기업 특히 심해 2002/02/18 한국경제
187 한자이름 진짜 어렵네…서울시 공무원 최항도·박돌봉 2002/02/17 굿데이
186 쏟아지는 신조어 말 안되는 말 많다 2002/02/13 동아일보
185 어법에 어긋난 新語 급증 2002/02/13 한국경제
184 증권가 `그들만의 은어` 2002/02/08 파이낸셜뉴스
183 [여의도포럼―안태용] 우리 말과 글의 위기 2002/02/08 국민일보
182 日수능시험서 한국어 평균 점수 가장 높아 2002/02/07 연합뉴스
181 `연어족` 신풍속도…한국말 못할수록 대우좋다 2002/02/07 굿데이
180 [발언대] 한글 세계화 추진, 단체마다 표기법 제각각 2002/02/06 한국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