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0361237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좋은 우리말 두고 영어 남발 한심

요즘 들어 잡지를 보면 분명 한글로 씌어 있는데 한글이 아닌 글자가 많다. 예를 들어 ‘모던한’ ‘내추럴한’ ‘엘레강스한’ ‘심플한’ 같은 표현이 그것이다. 이 말들은 얼마든지 ‘현대적인’ ‘자연스러운’‘우아한’ ‘단순한’(혹은 ‘소박한’) 등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색을 표현할 땐 더욱 심하다. ‘레드, 옐로, 블루, 바이올렛 컬러…’ 등등.

이런 현상은 외국잡지의 한국판에서 더욱 심하다. 잡지뿐만 아니라 TV나 간판 등도 마찬가지일 정도로 한글의 수난시대다. 영어를 반드시 써야 유식해 보이는 것인가. 조기 영어교육 열풍으로 아이들마저 제대로 된 한글을 쓰지 못하고 있다. 영어를 할 줄 알더라도 한글은 한글답게 쓸 수 있어야 한다.

최 난 경(경기 광주시 중부면)

2001/08/14 동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9 오역(誤譯)의 역사 2001/08/17 동아일보
118 사극대사가 비속어 퇴출 2001/08/16 스포츠투데이
117 좋은 우리말 두고 영어 남발 한심 2001/08/14 동아일보
116 방송, 국어 제대로 사용해야 2001/08/10 연합뉴스
115 영화가 맞춤법 망친다 2001/08/10 스포츠투데이
114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 2001/08/09 동아일보
113 상점 우리말 간판 달았으면 2001/08/07 매경ECONOMY
112 [백화종칼럼] 언어폭력과 삶의 질 2001/07/30 국민일보
111 말과 얼 2001/07/24 매일경제
110 어법 무시 노랫말 언어파괴 조장 2001/07/23 동아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