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79574324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언어, 사회 현상
北 조선말대사전 표기 잘못 260여개
북한의 조선말대사전에서 맞춤법이 틀리거나 한자어가 잘못 표기된 어휘가 260여개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글학회 사전편찬원을 지낸 정재도(76)씨는 최근 펴낸 「국어사전 바로잡기(고침판)」에서 "조선말대사전(1992년판)에 수록된 어휘 가운데 맞춤법에 어긋나거나 한자어를 잘못 쓴 것이 260여개"라고 밝혔다.
남한사전은 사물을 많이 벌이어 놓은 모양새를 `벌임새`라고 제대로 표기하고 있지만 북한 사전은 `벌림새`로, 옹성의 한자도 남한사전에는 `甕城`인데 북한사전은 `擁城`으로 적혀 있는 것 등이 정씨가 지적한 잘못 표기된 사례이다.
정씨는 `벌림새`는 "팔이나 입 따위를 벌린 모양새"라고 지적했다.
정씨는 이에 대해 북한 당국이 오래 전에 발간된 한글학회의 `큰사전`과 민중서림의 `국어대사전` 등을 바탕으로 조선말대사전을 편찬한 뒤 지금까지 바로잡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정씨는 일부 남한사전에서 맞춤법이 틀리거나 한자어를 잘못 쓴 어휘가 300개가 넘게 나오는 것과 비교할 경우 북한사전은 비교적 적은 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남한 사전에 수록된 어휘가 42만개인데 비해 북한사전은 33만개에 불과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오류가 적다고 설명했다.
정씨는 1925년 전남 광주에서 태어나 광주사범학교를 졸업한 뒤 1956년부터 한글학회 사전편찬원으로 한글을 고치고 다듬는 일에 종사해 왔다.
2001/08/23 연합뉴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59
한국어 교재 엉망
2002/08/22
한국일보
258
`아햏햏`을 아시나요?
2002/08/19
매일경제
257
‘외계어’모르면 사이버문맹?
2002/08/15
스포츠투데이
256
아직도 일본식 “부끄러운 광복”
2002/08/14
국민일보
255
지하철명으로 살아난 옛이름
2002/08/14
국민일보
254
경희궁의 아침...용비어천가...古風 `그대로`
2002/08/13
한국경제
253
사투리 편견 이제 버렸으면
2002/08/11
굿데이
252
[한마당] 국어 실력
2002/08/09
국민일보
251
`パŁㄹБㅎЙ♡`=사랑해? W언어 한글파괴 위험수위
2002/08/08
굿데이
250
통신용어 제대로 쓰자
2002/08/07
매일경제
제목
◀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
385/410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