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574337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北 조선말대사전 표기 잘못 260여개

북한의 조선말대사전에서 맞춤법이 틀리거나 한자어가 잘못 표기된 어휘가 260여개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글학회 사전편찬원을 지낸 정재도(76)씨는 최근 펴낸 「국어사전 바로잡기(고침판)」에서 "조선말대사전(1992년판)에 수록된 어휘 가운데 맞춤법에 어긋나거나 한자어를 잘못 쓴 것이 260여개"라고 밝혔다.

남한사전은 사물을 많이 벌이어 놓은 모양새를 `벌임새`라고 제대로 표기하고 있지만 북한 사전은 `벌림새`로, 옹성의 한자도 남한사전에는 `甕城`인데 북한사전은 `擁城`으로 적혀 있는 것 등이 정씨가 지적한 잘못 표기된 사례이다.

정씨는 `벌림새`는 "팔이나 입 따위를 벌린 모양새"라고 지적했다.

정씨는 이에 대해 북한 당국이 오래 전에 발간된 한글학회의 `큰사전`과 민중서림의 `국어대사전` 등을 바탕으로 조선말대사전을 편찬한 뒤 지금까지 바로잡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정씨는 일부 남한사전에서 맞춤법이 틀리거나 한자어를 잘못 쓴 어휘가 300개가 넘게 나오는 것과 비교할 경우 북한사전은 비교적 적은 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남한 사전에 수록된 어휘가 42만개인데 비해 북한사전은 33만개에 불과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오류가 적다고 설명했다.

정씨는 1925년 전남 광주에서 태어나 광주사범학교를 졸업한 뒤 1956년부터 한글학회 사전편찬원으로 한글을 고치고 다듬는 일에 종사해 왔다.

2001/08/23 연합뉴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39 박성희/월드컵 제목 감정-흥분 거둬 냈으면… 2002/06/14 동아일보
238 음악채널 진행자들 `막말` 심각 2002/06/10 한국일보
237 최승희/˝e세상 언어폭력 비겁해요˝ 2002/06/10 동아일보
236 한자교육 다양한 의견 수렴을 2002/06/05 동아일보
235 충북 中1년생 1.2% 덧셈 뺄셈 못해 2002/06/03 동아일보
234 "Busan에서 Pusan 찾는다" 로마자 표기법 혼란 2002/06/02 동아일보
233 공동개최국 韓.日, 축구용어에는 차이 2002/05/29 연합뉴스
232 "나는 한국어를 배우러 왔습니다" 2002/05/27 한국일보
231 "영어는 이제 인터넷의 유일한 언어 아니다" 2002/05/27 INEWS24
230 [독자편지]표재영/방송 언어 어법 무시 심해 2002/05/24 동아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