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82553321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언어, 사회 현상
버들송이·술깨비등 상표에 고운 우리말 많아
각종 광고와 제품 이름 등에 외국어가 무분별하게 판치고 인터넷을 통한 국어 파괴가 심각한 가운데 최근 특허 출원되는 상표에 고운 우리말을 쓰는 사례가 많아 화제다.
8일 특허청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달 20일까지 국내에서 출원된 상표권 7만2천7백5건 가운데 10% 가량인 7천여건이 순수 우리말로 된 것이다.
가장 많이 광고에 등장하는 식품의 경우 `참고을``버들송이``산들무``달군달아``꿩 대신 닭 만두``참새도 탐낸 쌀``허수아비가 지킨 쌀` `햇살내음``오늘 찌은 쌀``양파마을``해든 나라``방울댁``지화자``어화둥둥``술깨비``참맛참빛` 등이 눈길을 끈다.
의류 및 신발류로는 `즈려밟고``딴지``지게``아리따``똘망똘망``큰엄마``고운 님 여의옵고` 등이 출원됐다.
또 식당.병원 등의 이름으로는 `소야 돼지꿈 꿔``소를 찾아가는 집``오미가미``찌개나라 탕마을``속푸리``밀려오네``민물 한마당``정터구이골``예쁜 다리 정형외과``이가 편한 치과` 등이 있다.
어린이들을 주요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는 `재미랑 숫자랑``큰마음 작은 아이``생각꿈들``떡지우개``빨랑빨랑``뽀송이` 등이 눈에 띈다.
이밖에 `풀잎사랑``물방개``아이신나``싹싹이``미리내돌``새악시``새암물``푸른비``우렁찬``푸름네``알참이``가시리``마당쇠``맛돌이` 등도 고운 우리말 상표들이다.
특허청 관계자는 "외국어상표가 범람하다 보니 최근에는 차별화 전략의 일환으로 고운 우리말로 상표 이름을 짓는 경우가 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2001/10/08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29
밝고 고운 우리말 간판 보기 힘드네
2001/10/08
동아일보
128
한글은 없고 일본말만 있네
2001/10/08
스포츠투데이
127
서울시내 동이름 30% 일제때 지명 사용
2001/10/08
중앙일보
126
버들송이·술깨비등 상표에 고운 우리말 많아
2001/10/08
중앙일보
125
‘탸콰 뎌응 칑九들乙’…한글 맞아?
2001/10/08
스포츠투데이
124
한글날 앞두고 살펴본 어린이들 `온라인이름`
2001/10/04
중앙일보
123
외국인도 헷갈리는 영문 명함
2001/09/26
동아일보
122
TV 오락프로 자막 언어 오염 심각
2001/09/05
매일경제
121
로마자 성씨 표기 원칙 따로 현실 따로
2001/08/26
동아일보
120
北 조선말대사전 표기 잘못 260여개
2001/08/23
연합뉴스
제목
◀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
398/410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