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548496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서울시내 동이름 30% 일제때 지명 사용

서울의 동(洞)이름 10개 중 3개꼴로 우리 고유의 명칭이 아닌 일본식 지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말 쓰기에 앞장서고 있는 한국땅이름학회(회장 배우리)가 8일 발표한 `서울 지명 현황`에 따르면 종로.서대문 등 일제시대부터 있었던 8개구의 4백70개동중 31.1%인 1백46개동이 일제때 지명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특히 종로구의 경우 87개 동 가운데 53개동(60.9%)이 일본식 지명이었다.

종로구 관수동의 경우 넓은 다리(板橋)라는 의미의 `너더리`로 불리던 것을 일제가 청계천의 흐름을 살피는 곳이란 뜻의 관수동(觀水洞)으로 바꾼 것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잣골`로 불리던 동숭동도 일제가 행정편의를 위해 숭교방(조선시대 행정구역)의 동쪽이란 뜻의 동숭동(東崇洞)으로 개명했다는 것이다.

전통거리인 인사동(仁寺洞)도 큰 절(원각사)옆에 있는 동네란 뜻의 대사동(大寺洞)이 더 적절하다고 학회는 주장했다.

배우리 회장은 "한강 중지도(中之島)는 공식적으로 노들섬,인왕산의 한자표기는 `仁旺山`에서 `日`을 뺀 `仁王山`으로 표기키로 했으나 행정기관에서 조차 이를 지키기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동명을 바꾸면 65개 관계법령에 따른 후속조치가 있어야 한다"며 "이처럼 엄청난 행정수요와 혼란이 있어 개명은 어렵지만 지하철 역 등 새로 생기는 시설물에는 최대한 고유 지명을 붙이고 있다"고 말했다.

2001/10/08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29 밝고 고운 우리말 간판 보기 힘드네 2001/10/08 동아일보
128 한글은 없고 일본말만 있네 2001/10/08 스포츠투데이
127 서울시내 동이름 30% 일제때 지명 사용 2001/10/08 중앙일보
126 버들송이·술깨비등 상표에 고운 우리말 많아 2001/10/08 중앙일보
125 ‘탸콰 뎌응 칑九들乙’…한글 맞아? 2001/10/08 스포츠투데이
124 한글날 앞두고 살펴본 어린이들 `온라인이름` 2001/10/04 중앙일보
123 외국인도 헷갈리는 영문 명함 2001/09/26 동아일보
122 TV 오락프로 자막 언어 오염 심각 2001/09/05 매일경제
121 로마자 성씨 표기 원칙 따로 현실 따로 2001/08/26 동아일보
120 北 조선말대사전 표기 잘못 260여개 2001/08/23 연합뉴스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