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0110627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언어예절] 쇠고기 / 최인호

저 몇 달 닫혔던 미국 쇠고기 푸줏간이 열리자마자 살코기를 몇 관씩 끊어갔다던 분은 포원이 풀렸는지? 부시도 다녀가고 ‘미친소’ 반대 촛불집회는 일백회 가풀막을 비춘다.

한우는 보통 송아지 적 아니면, 좀더 먹여 여러 해 논밭을 갈고 새끼를 몇 배 보고서야 어렵사리 내다 팔았다. 호사가들 얘기지만, 고기 맛이야 예나 지금이나 열 달을 넘기지 않은 하릅송아지를 제일로 친다. 일본에선 스무 달짜리 안쪽을, 우리는 서른 달이 넘지 않은 물건을 들여온다는데, 협상 정부나 장사꾼 두루 주권·신용 다 뭉개고 야합하는 세상에 달수 따지는 것도 부질없다.

소 나이(연령) 세는 말이 따로 있지 않으냐는 분들이 있다. 전날엔 집짐승인 소나 말, 개를 한습(하릅) 두습(이릅) 세습(사릅) 나릅 다습 여습 이롭 여듭 아습(구릅) 담불(열릅)처럼 헤아렸다. 누에는 다섯 잠(령)을 한 달 안에 마치니 단위가 다르다. 어린아이도 요즘은 달수(월령)로 헤아리고, 집짐승 먹이고 친화하는 개념이 많이 흐릿해진 지금, 공장내기 말·개·소 나이 일컫는 말이야 온전하겠는가?

‘소’는 잡지만 ‘쇠’는 잡지 못한다. ‘미친소’를 만든 건 사람이다. ‘연세·연치’를 높임말로 치는데, 이빨로 소 나이를 헤아리니 ‘연치’(年齒)가 제격이겠다. 나이를 세는 단위 ‘살’은 ‘한 살, 두 살, 아흔 살’처럼 고유어와 어울리고, ‘세’(歲)는 ‘십이세, 삼십세, 구십세’처럼 한자말과 어울린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2008/08/07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543 [외래어] 쿠사리 / 김선철 2010/03/02 한겨레
1542 [성병휘의 교열 단상] `양형`과 `형량` 2010/03/01 매일신문
1541 [외래어] 미셸, 섀도 / 김선철 2010/02/23 한겨레
1540 [성병휘의 교열 단상] 공부하느라고 2010/02/22 매일신문
1539 [외래어] 저지 / 김선철 2010/02/16 한겨레
1538 [외래어] 울면 / 김선철 2010/02/09 한겨레
1537 [성병휘의 교열 단상] 이상을 높여라 2010/02/08 매일신문
1536 [외래어] 골덴 / 김선철 2010/02/02 한겨레
1535 [성병휘의 교열 단상] 걷잡을 수 없는 2010/02/01 매일신문
1534 [외래어] 엑박 / 김선철 2010/01/26 한겨레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