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8949452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바루기] 친구의 꾀임(?)에 빠져

새 학기가 시작돼 아이들은 새로운 반에서 새로운 선생님과 친구들을 만나고 있다. 부모들은 아이가 바뀐 환경에 잘 적응하길 빌지만 한편으로는 좋지 않은 친구들의 유혹에 넘어가 잘못된 길로 들어서지나 않을지 걱정하기도 한다.

친구의 유혹으로 잘못을 저지르는 경우 보통 "친구의 꾀임에 넘어가 그리 됐다" "친구들의 꾀임에 빠져 PC방을 들락거렸다"처럼 '꾀임'이라는 표현을 쓰곤 한다. 그러나 '꾀임'은 '꾐'이라고 해야 한다. '꾐'의 원말이 '꼬임'이므로 '꼬임'이라고 해도 된다.

'그럴듯한 말이나 행동으로 남을 속이거나 부추겨 자기 생각대로 끌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는 '꾀이다'가 아니라 '꼬이다'다. "그는 학교를 빼먹고 놀러 가자고 친구를 꼬였다"와 같이 쓰인다. '꼬이다'의 준말이 '꾀다'이므로 '꼬이다' '꾀다' 어느 쪽으로 써도 된다.

명사형은 '꼬이다→꼬임' '꾀다→꾐'이 된다. 따라서 '꾀임'은 '꼬임' 또는 '꾐'의 잘못이다. "친구들의 꾀임에 빠져 ~"는 "친구들의 꾐(꼬임)에 빠져 ~"로 해야 한다.

'~에게 꾐을 당하다' '남의 꾐에 말려든다'는 의미로는 '꾀다'의 피동사인 '꾀이다'(꾀+이+다) 형태가 쓰일 수 있다. "마을 노인들은 몸에 좋다는 장사꾼의 말에 꾀여(←꾀이어) 약을 샀다"와 같은 경우다.

2007/03/20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454 [우리말바루기] 사랑한다 되뇌이다(?) 2008/05/28 중앙일보
1453 [우리말바루기] 그대는 왜 촛불을 키셨나요? 2008/05/27 중앙일보
1452 [우리말바루기] 빈소 / 분향소 2008/05/26 중앙일보
1451 [우리말바루기] 자정(?)에 만나자 2008/05/22 중앙일보
1450 [우리말바루기] 깜쪽같이(?) 사라지다 2008/05/14 중앙일보
1449 [우리말바루기] 수백/ 몇백 2008/05/08 중앙일보
1448 [우리말바루기] 나를 낳으실 제 2008/05/06 중앙일보
1447 [우리말바루기] `복숭아뼈`는 없다 2008/05/02 중앙일보
1446 [우리말바루기] `시라소니`(?) 2008/04/25 중앙일보
1445 [우리말바루기] 허송세월 보내다 2008/04/24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