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5600073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네티즌 국어파괴 심각한 상태



학창시절 프랑스 작가 알퐁스 도데의 「마지막 수업」이란 소설을 배운 적이 있다. 더이상 프랑스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된 한 마을에서 마지막 모국어 수업시간 선생님의 가르침이 감동적으로 그려진 소설이었다. 그때 우리를 가르쳐 주신 선생님도 우리 국어의 중요성과 자기 말과 글에 대한 자부심에 대해 가르쳐 주셨다. 덧붙여서 선생님은 우리 한글은 아주 우수한 언어라고도 말씀해 주셨다. 그 이후로 나는 바른 우리말 사용에 대해 고심했던 것 같다.

어른이 돼보니 어린 시절의 가르침이 아니더라고 외국여행시 우리말을 사용하는 사람을 만나는 기쁨이나 우리글로 된 간판을 보는 마음은 감회가 새로웠다.

그런데 최근 초등학교 고학년 아들 녀석의 학급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고 정말 깜짝 놀랐다. 게시판의 언어는 대부분 맞춤법이 틀린 것들이었다. 「안냐세여(안녕하세요), 넘넘(너무너무)」 등은 그래도 무슨 뜻인지 알기나 하지 그외의 이상한 말들은 도저히 무슨 뜻인지 난감했다. 나중에 물어보니 중고등학생들의 채팅방이나 숙제도우미 등에는 더 심한 언어파괴가 일어나고 게임용어 등은 도저히 일반인으로서는 알 길이 없다는 것이었다.

물론 나도 청소년시절 은어를 사용해 봤고 어떤 의미에선 재미도 있었으며 우리 또래끼리의 결속력과 친밀감을 그런 언어사용으로 나타낸 적도 있었다. 그러나 요즘 온라인상의 언어 파괴·변질은 심각한 수준인 것 같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맞춤법이 틀리고 올바른 국어사용을 귀찮아 한다는 것이다. 언어파괴는 10대에서 시작돼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그뿐만 아니라 요즘에는 휴대폰의 특수문자로 대화하는 사이버 상형문자족까지 생겨나고 있다고 한다. 「1010235(열렬히 사모해)」 「1004(천사)」라는 숫자를 입력하거나 「·―·(웃는 표정)」을 보내는 것은 차라리 애교로 봐줄 수 있는 수준이다.

그들 중에는 이런 투의 언어사용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오히려 표준말에 맞춰 올바로 쓰는 학생은 왕따까지 당하는 경우도 있다 한다. 온라인상에도 언어사용의 예절이 있다. 얼굴을 대하고 말하지 않거나 익명성이 보장된다 하여 함부로 비속한 언어를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우리의 말과 글은 우리 스스로가 지키고 가꿔나가야 한다. 온라인상에서의 바른 언어사용에 대해 우리 모두 관심을 가져야 할 때다. 언어란 사회성이 있어서 한번 정착하면 쉽게 바꿀 수 없는 것이다. 오히려 온라인상에서 더 재미있고 바른 우리말이 많이 만들어지도록 우리 모두 바른 언어생활을 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최낙곤 서울 양천구 목동

2000/10/19 전자신문



   
 
번호 예제 날짜 출처
309 수능 점수반영 우리말 `찬밥` 2002/11/15 한겨레신문
308 대접 못받는 한국어 2002/11/12 국민일보
307 탈북주민 상당수 `남한어`에 어려움 2002/11/08 연합뉴스
306 中교육계도 ‘한류’ 열풍 2002/11/05 문화일보
305 인천공항 외국어표기 오류 망신살 2002/11/04 동아일보
304 뒷전으로 밀린 국어 기초교육 2002/11/03 동아일보
303 최미림/한글 바로쓰기 광고에 오자가… 2002/10/30 동아일보
302 맞춤법과 社名 2002/10/27 동아일보
301 같은 말 줄이기 2002/10/24 한겨레신문
300 日 노인들 “젊은이 말 못알아 들어” 2002/10/24 국민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