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630759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언어예절] 어떻게 / 최인호

‘어떻게 해서든지, 어떻게든’처럼 ‘어떻게’가 목적 제일주의를 부추기는 말로 쓰이기도 하지만, 말의 속성에 걸맞게 모호하게 쓰일 때가 적잖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어떻게 오셨습니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여기서 어떻게 사니?” “어떡해요?” “당신 생각은 어때?” “요즈음 어떻게 지내십니까?” “그만 용서하여 주시면 어떻겠습니까?” ….

자기 의견을 먼저 말하고 상대의 견해를 물을 때 흔히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말한다. 여기서 ‘어떻게’보다는 ‘어떻다고’가 정확하겠다. 생각은 ‘머리로’ 하는 까닭이다. 생략된 것을 갖추면 “(당신은 이것을) 어떻다고 생각하느냐”가 된다.

집이나 일터로 찾아온 사람을 두고 ‘어떻게 오셨습니까?’ 한다. 수단·방법·과정, 곧 ‘무엇을 타고 오셨습니까?’, ‘걸어서 오셨습니까?’ 하고 묻는 말인데도 사람들은 보통 ‘무슨 일로 오셨습니까? 왜 오셨습니까?’로 알아듣는다. 용무를 바로 묻는 게 야박해 흐릿하게 에두르는 말하기로 풀이한다.

‘어떻다, 어떻게’는 불분명한 대상이나 행위를 들추어 의문문을 만든다. ‘어찌하다’는 의문동사인데, ‘어찌하여’보다는 ‘어떻게 하여’로 자릿수를 하나 더 늘린 표현을 많이 쓸 정도다. 이런 관용적이고 중의적인 표현이 재미있기는 하나 소통 과정에서 오해를 부르기도 하고, 다른 외국어로 뒤칠 때 어려움을 주기도 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2008/07/17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806 [말글살이] `네가지` / 강재형 2012/04/05 한겨레
1805 [말글마당] 억제력과 억지력 2012/04/05 매일경제
1804 [성병휘의 교열 斷想] 국회의원 선거 2012/04/02 매일신문
1803 [성병휘의 교열 斷想] 난생처음 2012/03/26 매일신문
1802 [말글마당] 선거와 경마 2012/03/22 매일경제
1801 [성병휘의 교열 斷想] 자비 2012/03/19 매일신문
1800 [말글마당] 칠칠하다, 안절부절못하다 2012/03/15 매일경제
1799 [말글마당] 기지개를 켜다 / 촛불을 켜다 2012/03/08 매일경제
1798 [성병휘의 교열 斷想] 바른말 2012/03/05 매일신문
1797 [말글마당] 새봄 새 학기 2012/03/01 매일경제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