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87057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전문용어 쓴 약 설명서 불편

약국에서 직접 구입할 수 있는 약을 쓸 때마다 그 안에 들어 있는 사용설명서 보기가 불편하다.

어려운 전문용어가 많은데다 글씨도 너무 적다.우리말로 쉽게 쓸 수 있는 것조차 어렵고 이상하게 써 놓은 경우도 많다.의약 분업으로 의사나 약사가 처방하고 조제해준 것과는 달리 소비자가 구입하는 약은 사용설명서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얼마 전 연고를 산 적이 있는데 ‘피부에 심한 소양감이 있거나’라고 돼 있었다.소양감 대신 그냥 가려움증으로 표기하면 될 것이다.해열·진통제에는 ‘어지러움과 지남력 상실을 동반할 때’라는 게 있었다.지남력 상실이 무엇인지 몰라 제약회사에 문의했더니 ‘방향감각 상실’이라는 것이다.약 하나를 사용하는데 설명서 뜻을 몰라 제약회사에 문의해야 한다면 그게 어디 사용설명서라고 할 수 있겠는가.

최재숙(광주 동림동)

2001/10/10 국민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39 한글, 언어학적 호사의 극치 2001/10/17 한국일보
138 日 `대학생이 배워야할 외국어`에 한국어 4위로 꼽아 2001/10/13 연합뉴스
137 엄마는 "그×" 선생님은 "그×" 2001/10/10 중앙일보
136 전문용어 쓴 약 설명서 불편 2001/10/10 국민일보
135 한글간판 갈수록 줄어 .. 명동카페 모두 외국어 2001/10/10 한국경제
134 社名변경 242개社중 161개가 영어로 2001/10/09 한국일보
133 국가 공문서 틀린 한글 방치말라 2001/10/09 동아일보
132 대학가 간판 한글이 사라진다 2001/10/09 국민일보
131 난 ‘외계인 국어사전’이 필요해 2001/10/08 국민일보
130 최고의 韓流상품은 한글 2001/10/08 동아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