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630764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우리말맛맛29] `만`의 띄어쓰기

의존명사 '만'과 조사 '만'을 구분해야

"두 사람은 연애한 지 1년 만에 결혼하였다."에서의 '만'은 '일정 정도 지속된 동안'의 의미를 지니는 의존명사이다. 자연 '만' 앞에는 '기간'이나 '시간' 등을 나타내는 단어가 오게 마련이다.

또 "화를 낼 만도 하다."(타당성)나 "그가 어떤 사람인지 알 만은 하다."(가능성)에 쓰인 '만'도 의존명사이다.

한편 "볼 만한 영화."(가치)나 "견딜 만하다."(가능)에 쓰인 '만하다'는 보조 형용사이다.

"혼자만의 여행을 가다."나 "너만 여행을 가기냐."에서 '만'은 '단독'의 의미를 지니는 조사이다. 이 밖에도 "울기만 했어요."(단일한 행동이나 상황), "꼭 합격해야만 하겠다."(의지의 강조-이때의 '어야만'은 어미), "제발 그것만은 안 돼."(한계선 또는 극한선), "그만 일을 가지고 울기는."(겨우 그 정도의-이때의 '그만'은 관형사), "주먹만 한 우박"(상응), "능력이 부족하면 안 하니만 못하다."(비교-이때의 '니만/느니만'은 어미), "그는 나만 보면 달려와 인사를 한다."(특정 대상), "눈만 감아도 고향집이 어른거린다."(최소 행위) 등도 모두 조사로 쓰이고 있는 '만'이다.

여기에 '마는'의 줄임꼴인 '만'이라는 조사도 있다. "충고한다만(마는) 사람을 놓치지 마라."(이때 'ㄴ다마는'은 어미)로 쓰인다./ 데일리안 김주석 시조시인

2008/05/06 데일리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630 [이진원 기자의 바른말 광] 등 뒤에 `빽`은 없다 2008/09/02 부산일보
1627 [이건 왜?] 족발의 뜻은 발(足)+발? 2008/08/31 한국경제
1624 [홍성호 기자의 말짱 글짱] 모찌의 추억 2008/08/23 한국경제
1622 [돋보기 졸보기] 57. 놀라다/놀래다/놀래키다 2008/08/15 한국경제
1618 [홍성호 기자의 '말짱 글짱'] 몸 이름 바로알기 ③ 2008/08/08 한국경제
1612 [돋보기 졸보기] 55. 띄어쓰기 공략법 : 단음절 단어 2008/07/25 한국경제
1604 [우리말맛맛75] `만날`, `바라` 2008/07/08 데일리안
1603 [우리말맛맛77] `풀치다`, `풀쳐생각` 2008/07/07 데일리안
1602 [우리말맛맛76] 가리워진? 2008/07/07 데일리안
1601 [우리말맛맛74] 삐지다? 2008/07/07 데일리안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