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624805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외래어] 뽀록나다 / 김선철

‘선의의 거짓말’이라는 표현이 있다. 상대방을 기분 나쁘지 않게 하거나 일이 너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즉, 그 거짓말로써 전체적인 상황이 더 좋아지거나 또는 더 나빠지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될 때 나쁘 잖은 뜻의 거짓말을 하게 된다. 우리는 이런 정도의 거짓말이 아니면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한다고 배운다. 그러나 살면서 자기 잘못을 덮고자 혹은 자기에게 유리하도록, 또 남을 괴롭히고자 배우지 않은 방향의 언행을 하는 이가 있기 마련이다. 어떤 나라나 사회가 건실하게 유지되고자 할 때 가장 큰 문제는 그런 이가 얼마나 많고 적으냐일 것이다.

거짓과 연관된 여러 말 가운데 ‘뽀록나다’ 또는 ‘뽀록이 나다’는 ‘감추어둔 비밀이나 이미 했던 거짓말이 드러나다’ 정도의 뜻으로 쓰이는 비속어 부류에 속한다. ‘뽀록’은 고유어처럼 느껴지지만 일본어 ‘보로’(ぼろ[襤褸])에서 왔다는 주장이 강하다. ‘보로’는 ‘넝마’나 ‘누더기’, ‘고물’이라는 뜻으로 출발해서 ‘허술한 점’, ‘결점’ 등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고 일본어 사전에 설명되어 있다. ‘보로가 데루’(ぼろが で[出]る)는 ‘단점이 드러나다’는 뜻이 되니, 직관적으로 볼 때 그 뜻이 우리의 쓰임새처럼 번질 수도 있어 보이고, ‘뽀록이 나다’라는 표현과 어휘 구성이 대응된다는 점 때문에 일본어 ‘보로’가 ‘뽀록’의 기원이라고 믿는 듯하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2008/10/28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646 [말글살이] 열릴 예정이다 / 우재욱 2010/11/25 한겨레
1645 [성병휘의 교열 斷想] 추어올리는 2010/11/22 매일신문
1644 [돋보기 졸보기] 155. `굽이굽이`와 `구비구비` 2010/11/19 한국경제
1643 [말글 마당] 외국인이든 내국인이든 2010/11/18 매일경제
1642 [성병휘의 교열 斷想] 스러지는 불꽃 2010/11/15 매일경제
1641 [말글마당] 으스스 부스스 스라소니 2010/11/11 매일경제
1640 [성병휘의 교열 斷想] 한나절 생활권 2010/11/08 매일신문
1639 좋은 글 쓰기 2010/11/08 뉴데일리
1638 단어가 아니라 `문장`을 외워라 2010/11/06 한겨레
1637 [말글마당] 굴착기와 굴삭기 2010/11/04 매일경제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