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8949452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고장말] 가댔수? / 이길재

‘-댔-’은 표준어 ‘-었/았-’에 대응하는 고장말이다. ‘-댔-’은 사건·행위가 과거에 일어났음을 나타내는 토인데, 주로 평안·황해 지역에서 쓰인다. “인민군대에 나간 외아들이 전사한 뒤 로인 내외가 외롭게 살댔는데 집이 무너져 한지에 나앉게 되여 ….”(<해당화 피는 땅> 김영선·북녘작가) “좀 전에 남옥 동무가 찾댔는데 ….”(<그마음 별빛처럼> 권형운·북녘) ‘-댔-’은 ‘-다고 했-’에서 온 말이다. 그래선지 ‘-댔-’에는 인용 뜻이 담겼다. “아저씬, 내가 98킬로 나갈 때두 예쁘댔던 사람이잖아.”(<그대의 차가운 손> 한강)

북녘에서 나온 <조선말대사전>에서 ‘-댔-’은 고장말 아닌 문화어로 올랐다. <조선말대사전>에서 ‘-댔-’은 ‘-았댔-’ 혹은 ‘-었댔-’과 같은 꼴로 쓰여 ‘겪었던 사실을 돌이켜 말할 때’ 쓰이는 토로 풀이돼 있다. ‘-댔-’이 ‘-다고 했-’이 줄어든 말이라면, ‘-었댔-’은 ‘-었다고 했-’이 준 말이다. “너희들 오늘 만경봉에 올라갔댔지?”(<조선말대사전>) “동무네는 간밤에 어디 갔댔나? 이기겠다구 무던히 악을 쓰더군.”(<경쟁> 석윤기·북녘) ‘-았댔-’은 강원과 충북 쪽에서도 쓰임을 찾아볼 수 있다. “산이 좀 짚어서 물이 언제든지 떨어지지 않았댔어요.”(<한국구비문학대계> 충북편) “치매를 뒤집어쓰고 거가 빠져 죽었댔어요.”(위 책, 강원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2009/02/22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660 [성병휘의 교열 斷想] 말수조차 적어 2010/12/27 매일신문
1659 [돋보기 졸보기] 159. 명령꼴의 두 형태 2010/12/24 한국경제
1658 [말글마당] 얽히고설키다, 두루뭉술하다 2010/12/23 매일경제
1657 [말글살이] 꽂감 / 우재욱 2010/12/23 한겨레
1656 [성병휘의 교열 斷想] 널브러지지 말고 2010/12/20 매일신문
1655 [말글마당] 아직도 남은 일본말 찌꺼기 2010/12/16 매일경제
1654 [말글살이] 노란자위 2010/12/16 한겨레
1653 [성병휘의 교열 斷想] 순종의 삶 2010/12/13 매일신문
1652 [말글마당] `차돌박이` 와 `점배기` 2010/12/09 매일경제
1651 [성병휘의 교열 斷想] 따듯한 성금 2010/12/06 매일신문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