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0118547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바루기] `복숭아뼈`는 없다

목련·진달랠개나리·벚꽃에 이어 복숭아꽃이 만개해 봄꽃들의 향연을 이어 가고 있다. 중국 진(晋)나라 때의 고사인 무릉도원(武陵桃源)의 배경은 복숭아꽃이 만발한 계곡이었다. 유비·관우·장비가 의형제(義兄弟)를 맺은 도원결의(桃園結義)도 복숭아꽃이 활짝 핀 밭에서 이루어졌다.

복숭아꽃의 한자어는 도화(桃花)다. 순 우리말인 ‘복숭아’의 준말은 ‘복사’이며, ‘복숭아꽃’의 준말은 ‘복사꽃’이다. 따라서 ‘복숭아꽃=복사꽃’ ‘복숭아나무=복사나무’다. 그렇다면 ‘복숭아뼈=복사뼈’도 성립할까. ‘복숭아뼈’ 또는 ‘복사뼈’는 발목 부근에 안팎으로 둥글게 나온 뼈를 이른다. 불행히도 ‘복숭아뼈=복사뼈’는 성립하지 않는다. ‘복사뼈’만이 표준어다.

‘복사’가 ‘복숭아’의 준말이므로 ‘복사뼈’와 ‘복숭아뼈’가 같은 말이어야 함에도 좀 다른 측면이 있다. ‘복사뼈’는 일종의 의학 용어, 즉 전문 용어다. 둘 다 써도 되겠지만 전문 용어로 ‘복사뼈’만 사용하고 있어 ‘복사뼈’를 표준어로 선택하고 ‘복숭아뼈’를 버렸다. 표준어 선택의 문제이지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전문 용어와 관련해서는 ‘두려움증’도 ‘두렴증’, ‘어지러움증’도 ‘어지럼증’이 표준어다.

2008/05/02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459 [우리말바루기] 추스리다/구스르다(?) 2008/06/09 중앙일보
1458 [우리말바루기] 편지를 쓸려고(?) 2008/06/04 중앙일보
1457 [우리말바루기] 종로구 일대 교통을 통제한다고요? 2008/06/03 중앙일보
1456 [우리말바루기] 창장(長江) 강 2008/05/30 중앙일보
1455 [우리말바루기] 리터는 `L`로만 표기 2008/05/29 중앙일보
1454 [우리말바루기] 사랑한다 되뇌이다(?) 2008/05/28 중앙일보
1453 [우리말바루기] 그대는 왜 촛불을 키셨나요? 2008/05/27 중앙일보
1452 [우리말바루기] 빈소 / 분향소 2008/05/26 중앙일보
1451 [우리말바루기] 자정(?)에 만나자 2008/05/22 중앙일보
1450 [우리말바루기] 깜쪽같이(?) 사라지다 2008/05/14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