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011184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바루기] 수백/ 몇백

광우병을 우려해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크다. 서울 청계천 광장에서는 1만여 명이 참가한 촛불 시위도 벌어졌다. 시위 규모가 그 사안의 중요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아무래도 사람들은 시위에 몇 명이 참가했는지에 관심이 크다.

시위 광경을 서술할 때 참가자를 일일이 셀 수 없다 보니 수십, 수백, 수만 등의 어림하는 표현이 자주 등장한다. 몇십, 몇백, 몇만 등도 흔히 쓰인다. 수십, 수백 등은 사전에 한 단어로 올라 있고 붙여 쓴다. 몇십, 몇백은 사전에 등재돼 있지 않다. 그럼 ‘몇’이 붙은 수 표현은 어떻게 띄어 써야 할까.

‘몇’이 의문을 나타내는 경우와 단지 ‘얼마 되지 않는 수’를 의미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그는 몇십 개의 알밤을 주웠다”에서는 ‘몇’이 적은 수를 나타낼 뿐 의문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수십’과 의미가 같다. 이때는 붙여 쓴다. 한편 “400개의 알밤을 주웠어”라고 했을 때 상대방이 숫자를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 “몇 백 개?”라고 묻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몇’이 의문을 나타내며 ‘수백’과는 의미가 다르다. 이 경우는 띄어 써야 한다.

2008/05/08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459 [우리말바루기] 추스리다/구스르다(?) 2008/06/09 중앙일보
1458 [우리말바루기] 편지를 쓸려고(?) 2008/06/04 중앙일보
1457 [우리말바루기] 종로구 일대 교통을 통제한다고요? 2008/06/03 중앙일보
1456 [우리말바루기] 창장(長江) 강 2008/05/30 중앙일보
1455 [우리말바루기] 리터는 `L`로만 표기 2008/05/29 중앙일보
1454 [우리말바루기] 사랑한다 되뇌이다(?) 2008/05/28 중앙일보
1453 [우리말바루기] 그대는 왜 촛불을 키셨나요? 2008/05/27 중앙일보
1452 [우리말바루기] 빈소 / 분향소 2008/05/26 중앙일보
1451 [우리말바루기] 자정(?)에 만나자 2008/05/22 중앙일보
1450 [우리말바루기] 깜쪽같이(?) 사라지다 2008/05/14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