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8949452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외래어] 바통 / 김선철

학교나 직장에서 체육대회를 열면 빠지지 않는 종목으로 달리기나 줄다리기가 있다. 달리기 중에서도 가장 인기가 있는 것은 이어달리기인 듯하다. 이어달리기는 달리는 이들이 바뀜에 따라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며 최고의 긴장감을 주어서 대개 체육대회의 마지막을 장식한다. 특히 바통을 잘 이어받지 못하거나 떨어뜨리는 순간, 응원하는 이들이나 구경하는 이들의 탄식이 운동장을 뒤덮기 마련이다.

이어달리기 경주에서 주자들이 주고받는 목재나 금속재의 둥근 막대를 가리키는 ‘바통’은 막대기·지팡이 등을 뜻하는 프랑스 말 ‘b<00E2>ton’에서 왔다. 육상 규정에 따르면 이는 표면이 고르고 속이 빈 관형(管型)이어야 하며, 길이는 28~30㎝ 이내, 둘레는 12~13㎝, 무게는 50g 이상이어야 한다. ‘바통’을 흔히 ‘바톤’이라고도 하지만 외래어 표기법대로 하면 ‘바통’이 옳다. 영어라면 그 발음에 따라 ‘배턴’이 되기 때문이다.

한편, 앞 주자가 다음 주자에게 바통을 넘겨주는 것을 ‘바통터치’(b<00E2>ton touch)라고 하는 것은 일본식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통에 손을 대는 것만으로 경주가 이어지는 것이 아니어서 좀 이상한 표현이라는 생각을 했던 분들이 계실 듯하다. 본래의 영어 표현은 ‘배턴패스’(baton pass)이다. 이에 해당하는 ‘바통을 넘기다’(넘겨받다)라는 표현은 비유적으로 의무나 권한, 임무 따위를 다른 사람에게 넘긴다(넘겨받는다)는 뜻이 된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2009/06/30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610 [말글마당] 벌칙금과 범칙금 2010/09/02 매일경제
1609 [말글살이] 표식/표지 / 우재욱 2010/09/02 한겨레
1608 [성병휘의 교열 斷想] 타산지석 2010/08/30 매일신문
1607 [말글살이] 有感(유감) / 우재욱 2010/08/26 한겨레
1606 [말글마당] 주최와 주관 2010/08/26 매일경제
1605 [성병휘의 교열 斷想] 기쁜 마음 2010/08/23 매일신문
1604 한국어교육자대회 26일 `팡파르` 2010/08/23 충청일보
1603 [말글마당] 언어의 그레셤 법칙 2010/08/19 매일경제
1602 [성병휘의 교열 斷想] 심란한 마음 2010/08/16 매일신문
1601 장호 원장의 국어인증 1등급 따라잡기(8월 17일) 2010/08/16 대전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