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7961909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어휘 풀이
[우리말바루기] 각출/ 갹출
기성세대엔 영 어색하지만 젊은 세대엔 자연스러운 문화가 있다. 바로 더치페이 문화다.
젊은 사람들은 밥이나 술을 먹고 난 다음 돈을 각자 나누어 내는 걸 당연시하고 있다. 이렇게 돈을 나누어 낼 때 '각출'한다고 해야 할까, '갹출'한다고 해야 할까.
정답은 '둘 다 쓸 수 있다'이다. 그러나 '각출'을 쓰느냐, '갹출'을 쓰느냐에 따라 의미가 조금 달라진다.
'각출(各出)'은 '각각 내놓음', '갹출(醵出)'은 '같은 목적을 위해 여러 사람이 돈을 나누어 냄'이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5만원의 밥값을 다섯 사람이 1만원씩 나눠 냈다면 '각출'한 게 된다. 그러나 좀 여유 있는 사람은 3만원을 내기도 하고, 돈이 별로 없는 사람은 5000원을 내기도 해 총 5만원을 거뒀다면 밥값을 '갹출'한 게 되는 것이다.
더치페이의 개념에 정확하게 들어맞는 단어는 '각출'이라 할 수 있다. 참고로 '갹출'은 '나누어 냄' '추렴' 등의 단어로 순화해 쓰는 것이 좋다.
2008/06/10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466
[우리말바루기] 그럴 `계제`가 아니다
2008/06/20
중앙일보
1465
[우리말바루기] 앰버경보(?)
2008/06/19
중앙일보
1464
[우리말바루기] 여차저차하다
2008/06/18
중앙일보
1463
[우리말바루기]`종이에요`와 `종이예요`
2008/06/17
중앙일보
1462
[우리말바루기] `두리뭉실한`(?) 대답
2008/06/16
중앙일보
1461
[우리말바루기]‘허구헌’(?) 날 새벽이야
2008/06/13
중앙일보
1460
[우리말바루기] 각출/ 갹출
2008/06/10
중앙일보
1459
[우리말바루기] 추스리다/구스르다(?)
2008/06/09
중앙일보
1458
[우리말바루기] 편지를 쓸려고(?)
2008/06/04
중앙일보
1457
[우리말바루기] 종로구 일대 교통을 통제한다고요?
2008/06/03
중앙일보
제목
◀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
331/477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