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63009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바루기] 넌저리(?)가 나다

학창 시절 '이 많은 과목을 왜 다 배워야 할까' 하는 의문을 가져 본 적이 있는지. 누구나 자신 있는 과목이 있는 반면에 지긋지긋하게 싫은 과목도 있었을 것이다.

이럴 때 친구들과 “수학은 정말 넌저리가 나” “영어 단어 외우는 건 이제 넌절머리가 나”라고 수다를 떨고 나면 마음이 한결 가벼워지곤 했다.

'지긋지긋하게 몹시 싫은 생각'을 나타낼 때 이처럼 '넌저리' '넌절머리' 등을 사용해 “넌저리 치다/ 넌절머리가 나다”와 같이 쓰곤 한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표기로 '넌더리' '넌덜머리'라 써야 한다.

'넌더리'를 '넌저리'라 잘못 쓰는 이유는 '넌더리'와 비슷하게 쓰이는 '진저리'란 단어 때문이다. “이제 그 사람 얘기만 들어도 진저리가 난다”에서와 같이 '몹시 싫증이 나거나 귀찮아 떨쳐지는 몸짓'을 의미하는 '진저리'가 비슷한 느낌을 줘 '넌저리'로 잘못 쓰이는 듯싶다.

'넌더리'와 '진저리'의 둘째 음절이 다르다는 사실만 기억하자. 그러면 헷갈려 쓰지 않을 수 있다.

2008/06/23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000 [우리말 바루기] 龜의 독음 2010/12/23 중앙일보
1999 [우리말 바루기] 씁쓰레하다 / 씁쓸해하다 2010/12/22 중앙일보
1998 [우리말 바루기] `희소병`은 있어도 `희귀병`은 없다 2010/12/21 중앙일보
1997 [우리말 바루기] 결단과 결딴 2010/12/20 중앙일보
1996 [우리말 바루기] 사람을 뭘로(?) 보고! 2010/12/16 중앙일보
1995 [우리말 바루기] 우리말 바루기 2010/12/16 중앙일보
1994 [우리말 바루기] 그분이요? 2010/12/15 중앙일보
1993 [우리말 바루기] `윗옷`에 `웃옷`을 걸쳐 입으세요 2010/12/14 중앙일보
1992 [우리말 바루기] 뒤탈 없는 송년회 2010/12/13 중앙일보
1991 [우리말 바루기] 응큼한(?) 손길 2010/12/10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