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630099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외래어] 포클레인 / 김선철

<이 기사는 저자 또는 신문사의 허락을 받았습니다.>

쇠로 만든 커다란 삽을 움직여 땅을 파거나 삽 대신에 정을 달아 아스팔트 또는 바위 따위를 깨는 중장비를 흔히 ‘포크레인’이라고 한다. 이것의 삽 끝에 달린 갈고리가 마치 포크(fork)의 창처럼 생겼고, 때로는 무거운 것을 들어올려 옮기기도 하기 때문에 크레인(crain)의 일종인 것 같은 점을 두고 붙은 이름인 듯하다. ‘포클레인’이 규범 표기로 정해져 있지만, 이는 이것이 포크나 크레인과는 상관이 없고 프랑스의 제작회사인 ‘포클랭’(Poclain)사의 이름에서 나온 것이다.

그런데 우리의 표현이 ‘포클랭’이라는 원래 이름에 가깝지 않은 이유는 아마도 이 말이 영어를 통해서 들어왔거나, 아니면 널리 퍼진 ‘포크레인’과 너무 멀어지지 않게 정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포클레인은 ‘삽차’로 순화되었는데, 영어권에서도 비슷하게 ‘유압식 삽’이라는 뜻의 ‘하이드롤릭 셔블’(hydraulic shovel)이라고도 하니 상통하는 바가 있다. 이를 흔히 ‘굴착기’ 또는 ‘굴삭기’라고도 하는데, 굴착기가 바른 표현이다. 그리고 이는 땅이나 암석을 파는 기계나 판 것을 처리하는 기계를 통틀어 이른다.

포클랭사는 1930년대에 조르주 바타유가 세운 회사로 그 후손과 친척들이 발전시켰는데, 유압 모터 방식의 삽차를 개발함으로써 세계 시장을 선도하여 그 명성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김선철/문화체육관광부 학예연구관

2010/04/20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096 [윤성국의 우리말 우리글]`휘둥그레지다, 휘둥그래지다` 바른말은? 2015/05/19 금강일보
2095 [민송기의 우리말 이야기] 고3의 받아쓰기 시간1 2015/05/18 매일신문
2094 [서완식의 우리말 새기기] 노사연씨, `바램`이 아니라 `바람`인데요 2015/05/16 국민일보
2093 [노경아의 라온 우리말터] 이팝ㆍ아까시 꽃향기 맡으며 2015/05/15 이투데이
2092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퉁치다 2015/05/14 동아일보
2091 [민송기의 우리말 이야기] 선생(先生) 2015/05/11 매일신문
2090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대포통장 2015/05/07 동아일보
2089 [민송기의 우리말 이야기] 보조사 2015/05/04 매일신문
2088 [윤성국의 우리말 우리글]`발렌타인데이?` 2015/04/27 금강일보
2087 [서완식의 우리말 새기기] `실마리`부터 찾아야 문제가 풀리죠 2015/04/25 경기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